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제어기 개발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3구신호등체계로 바뀌어 운영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4구신호등 체계로 개발된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를 3구신호등(적색, 황색, 녹색) 체계에 맞도록 신호등기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를 설계․개발하였다. 등기구동장치(LSU)는 2조의 3색 R-Y-G 출력스위치를 가져 총 6개의 출력용량을 갖도록 개선되었다. 이동류별 및 교통수...
Saved in:
| Published in | 韓國ITS學會 論文誌 Vol. 9; no. 5; pp. 49 - 58 |
|---|---|
| Main Authors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ITS학회
30.10.2010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738-0774 2384-1729 |
Cover
| Abstract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3구신호등체계로 바뀌어 운영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4구신호등 체계로 개발된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를 3구신호등(적색, 황색, 녹색) 체계에 맞도록 신호등기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를 설계․개발하였다. 등기구동장치(LSU)는 2조의 3색 R-Y-G 출력스위치를 가져 총 6개의 출력용량을 갖도록 개선되었다. 이동류별 및 교통수단별(차량, 버스, 자전거, 보행) 3색 신호를 부여하기 위해 최대 16개까지 등기구동장치(LSU)를 수용하여 총 96개의 출력 용량을 갖도록 버스체계가 개선되었다. 최대 32개까지 늘어난 적색 등 점멸제어를 위해 점멸기(FLASHER) 장치를 개선하였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지역제어기와 센터시스템 간 통신규약이 개선되었으며, 3구신호등 체계의 LSU에 적합한 새로운 시그널맵 코드체계를 부여하였다. 개발된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기에 대해 프로토콜 운전, 원격제어기능, 제어모드별 운전기능을 각각 시험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
|---|---|
| AbstractList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3구신호등체계로 바뀌어 운영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4구신호등 체계로 개발된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를 3구신호등(적색, 황색, 녹색) 체계에 맞도록 신호등기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를 설계․개발하였다. 등기구동장치(LSU)는 2조의 3색 R-Y-G 출력스위치를 가져 총 6개의 출력용량을 갖도록 개선되었다. 이동류별 및 교통수단별(차량, 버스, 자전거, 보행) 3색 신호를 부여하기 위해 최대 16개까지 등기구동장치(LSU)를 수용하여 총 96개의 출력 용량을 갖도록 버스체계가 개선되었다. 최대 32개까지 늘어난 적색 등 점멸제어를 위해 점멸기(FLASHER) 장치를 개선하였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지역제어기와 센터시스템 간 통신규약이 개선되었으며, 3구신호등 체계의 LSU에 적합한 새로운 시그널맵 코드체계를 부여하였다. 개발된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기에 대해 프로토콜 운전, 원격제어기능, 제어모드별 운전기능을 각각 시험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s being used in the domestic currently are being manufactured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standard which was developed for controlling the quad-light traffic signal having the red, yellow, left-turn arrow, and green lights. But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y for the traffic operation, they have to be changed to be able to switch the tri-light signal having red, yellow and green lights. In this study, a new tri-light traffic signal controller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way improving the Signal Control Unit of the existing quad-light standard traffic controller. The Load Signal Unit(LSU) was improved to output 6 signals which are the two assemblies of three signal indications having the red, yellow, and green lights. To enough traffic signals output to control each directional movements and the various transport modes which are car, bus, bike, and pedestrian etc., the connector bus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accommodate maximum 96 signals outputs being constructed by 16 LSUs. Flasher device was developed to be able to support maximum 32 red signals. In the software,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raffic control center and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was improved and new signal map code values were defined for the developed LSU controlling the quad-light traffic signal. A model of the quad-light traffic signal controller developed and was tested three operations, protocol-operation, remote-command and control-mode. The test result operated all of them successfully.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3구신호등체계로 바뀌어 운영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4구신호등 체계로 개발된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를 3구신호등(적색, 황색, 녹색) 체계에 맞도록 신호등기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를 설계 개발하였다. 등기구동장치(LSU)는 2조의 3색 R-Y-G 출력스위치를 가져 총 6개의 출력용량을 갖도록 개선되었다. 이동류별 및 교통수단별(차량, 버스, 자전거, 보행) 3색 신호를 부여하기 위해 최대 16개까지 등기구동장치(LSU)를 수용하여 총 96개의 출력 용량을 갖도록 버스체계가 개선되었다. 최대 32개까지 늘어난 적색 등 점멸제어를 위해 점멸기(FLASHER) 장치를 개선하였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지역제어기와 센터시스템 간 통신규약이 개선 되었으며, 3구신호등 체계의 LSU에 적합한 새로운 시그널맵 코드체계를 부여하였다. 개발된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기에 대해 프로토콜 운전, 원격제어기능, 제어모드별 운전기능을 각각 시험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3구신호등체계로 바뀌어 운영될 예정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4구신호등 체계로 개발된 표준규격 교통신호제어기를 3구신호등(적색, 황색, 녹색) 체계에 맞도록 신호등기부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를 설계․개발하였다. 등기구동장치(LSU)는 2조의 3색 R-Y-G 출력스위치를 가져 총 6개의 출력용량을 갖도록 개선되었다. 이동류별 및 교통수단별(차량, 버스, 자전거, 보행) 3색 신호를 부여하기 위해 최대 16개까지 등기구동장치(LSU)를 수용하여 총 96개의 출력 용량을 갖도록 버스체계가 개선되었다. 최대 32개까지 늘어난 적색 등 점멸제어를 위해 점멸기(FLASHER) 장치를 개선하였다. 소프트웨어 부문에서는 지역제어기와 센터시스템 간 통신규약이 개선되었으며, 3구신호등 체계의 LSU에 적합한 새로운 시그널맵 코드체계를 부여하였다. 개발된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기에 대해 프로토콜 운전, 원격제어기능, 제어모드별 운전기능을 각각 시험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였다.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s being used in the domestic currently are being manufactured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standard which was developed for controlling the quad-light traffic signal having the red, yellow, left-turn arrow, and green lights. But according to the national policy for the traffic operation, they have to be changed to be able to switch the tri-light signal having red, yellow and green lights. In this study, a new tri-light traffic signal controller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way improving the Signal Control Unit of the existing quad-light standard traffic controller. The Load Signal Unit(LSU) was improved to output 6 signals which are the two assemblies of three signal indications having the red, yellow, and green lights. To enough traffic signals output to control each directional movements and the various transport modes which are car, bus, bike, and pedestrian etc., the connector bus system was designed to be able to accommodate maximum 96 signals outputs being constructed by 16 LSUs. Flasher device was developed to be able to support maximum 32 red signals. In the software,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raffic control center and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 was improved and new signal map code values were defined for the developed LSU controlling the quad-light traffic signal. A model of the quad-light traffic signal controller developed and was tested three operations, protocol-operation, remote-command and control-mode. The test result operated all of them successfully. KCI Citation Count: 2 |
| Author | 한원섭 이철기 하동익 고광용 허낙원 이병철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한원섭 – sequence: 2 fullname: 고광용 – sequence: 3 fullname: 허낙원 – sequence: 4 fullname: 이철기 – sequence: 5 fullname: 하동익 – sequence: 6 fullname: 이병철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9311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tzM1Kw0AUBeBBKlhrX0G6EdwEZuZOcmeWpfhTLRSk-2GSTGRITSXpxhdw40YQREoX3QouKljoM6XpOxiMqwPnfJxj0spmmT0gbQ5SeAy5apE2Q5AeRRRHpFsULqQQcFSU8jYRUG6-qpfV_mO7e_vuVatl9f5TLT575eZ1_7xplqYtt-teuV7u1ssTcpiYaWG7_9khk8uLyeDaG42vhoP-yLMykF7oJ0qFoASCosKPwQRCiShmEITCGgoYsMSiReVLtAyM8FEmgnOhAJDF0CHnzW2WJzqNnJ4Z95f3M53mun83GeraIsqanjU0dcXc6SwupvqmfzvmlFHGVK0ESoTanTbOmnzuoqnVj7l7MPmTZuBTTuEXGLppqA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JDI ACYCR |
| DEWEY | 388.3 |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iscipline | Economics Journalism & Communications |
| DocumentTitleAlternate | Development of a Traffic Signal Controller for the Tri-light Traffic Signal |
| EISSN | 2384-1729 |
| EndPage | 58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493778 JAKO201011949347873 135020 |
| GroupedDBID | M1Z .UV JDI ACYCR |
| ID | FETCH-LOGICAL-e868-b5f99b394739045d3a6494cd136b4ea03761fe7e79587e13a4578f422493371d3 |
| ISSN | 1738-0774 |
| IngestDate | Sat Jul 13 03:11:41 EDT 2024 Fri Dec 22 11:59:13 EST 2023 Fri Jun 21 15:40:10 EDT 2024 |
| IsOpenAccess | true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true |
| Issue | 5 |
| Keywords | signal head signal control unit FLASHER Traffic signal controller LSU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868-b5f99b394739045d3a6494cd136b4ea03761fe7e79587e13a4578f422493371d3 |
| Notes | KISTI1.1003/JNL.JAKO201011949347873 G704-001937.2010.9.5.002 |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01194934787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 PageCount | 10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493778 kisti_ndsl_JAKO201011949347873 earticle_primary_135020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101030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10-10-30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0 year: 2010 text: 20101030 day: 30 |
| PublicationDecade | 2010 |
| PublicationTitle | 韓國ITS學會 論文誌 |
| PublicationTitleAlternat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
| PublicationYear | 2010 |
| Publisher | 한국ITS학회 |
| Publisher_xml | – name: 한국ITS학회 |
| SSID | ssib036279002 ssib053377138 ssib012146223 ssib023739049 ssib004698092 ssib008451679 ssib044738259 |
| Score | 1.7542069 |
| Snippet |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교통신호제어기는 4구신호등(적색, 황색, 녹화살표, 녹색) 체계로 개발된 “경찰청 교통신호제어기 표준규격”을 따르고 있으나, 국가정책에 따라... The traffic signal controllers being used in the domestic currently are being manufactured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police standard which was developed for... |
| SourceID | nrf kisti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 StartPage | 49 |
| SubjectTerms | 전자/정보통신공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Ⅱ. 교통신호기 표준규격 검토
1. 구성 체계
2. 주제어부
3. 신호구동부 (SCU: Signal Control Unit)
4. 소프트웨어 기능
Ⅲ. 3구신호등용 교통신호제어기 개발
1. 기본 구상
2. 하드웨어 부문 개선
Ⅳ. 시험 시스템 구성 및 평가
1. 시험 시스템 구성
2. 시험평가
Ⅴ.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1. 결론
2. 향후 연구사항
참고문헌 |
| Title | 3구신호등 제어용 교통신호제어기 개발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135020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011949347873&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493110 |
| Volume | 9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한국ITS학회 논문지, 2010, 9(5), 31, pp.49-58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1729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59 issn: 1738-077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2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B_aXvQiWr9qtURwvJQtmZ3Pd0zalLZSPbhCbyHZJLJUt9LdXjx49OJFEERkD70KHipY6L_kdvs_-GaS3U214MclGd68ebx5b8j8XmbmDSEPUtlUWQZ22yBPGyIxqpFmdmeOVoVieVZk2h4U3n6sNp6JrR25MzPzo7Zr6aCfrrRfX3iu5H-8ijT0qz0l-w-enQhFApbRv_hED-Pzr3zMaRTQUNJglUar1IQ08Gm0RsHQ0NAopMBpyJZtHVaAYwJFQ-EKAQ1guRIArp1RtnyBpN_bB5Ye-mX7si4sC3W0SyOgsG7ViKTlMeFm66ktB2tOrnJEjlLWaSAR1DqSokbTyNAgoGbyD9dpI8dKhE5jbCvoNJ-k04U7zQOrJLBJP89J0dQ465gmBZiIm7IgYa0yUtgci7O9rf8hsbtN_PFiT_lR1_hR93V5G9BK7miIVEQDwRvUZwKoDXhZ-6qXSVUrfFBmmj-fufuXGXWyz3ErePTEasQYCOA2DxKfJbOc2as2tt9EteVlMH5tedvY65Ony6fM3r5ew3FNrjnUlkcRhGjwp3nchMAe1-JahPRaM3er-8QWFnxVAxfjMhusdBBedfeLGrxqXSVXqrjIC0rea2Rmd2-eXBofm-_Nk8WKpdN76T30zp1r6l0ngg-Pv47eHZ59Ojn98M0bHQ5GH7-PPn_xhsfvz94elzUldXhy5A2PBqdHgxuktR61Vjca1YUgjdwo00hlAZByEK73MuOJEiDaGeMqFXni41zJilznGqTROeOJwOmoEAhSAQ3AMn6TzHX3uvlt4plMK5kUCuOFXBiVIAPkebPdTFJpV9IXyK2xdeJXZdqXmHGJsdUCWXLGirtZ70V8gYMXyH20Yrzb7sQ2dbt9P9-Ld_djDFA3Y-TS2tz5k5BFcnk6ku-Suf7-QX4P0W8_XXIj5ydTp4hB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3%EA%B5%AC%EC%8B%A0%ED%98%B8%EB%93%B1+%EC%A0%9C%EC%96%B4%EC%9A%A9+%EA%B5%90%ED%86%B5%EC%8B%A0%ED%98%B8%EC%A0%9C%EC%96%B4%EA%B8%B0+%EA%B0%9C%EB%B0%9C&rft.jtitle=%E9%9F%93%E5%9C%8BITS%E5%AD%B8%E6%9C%83+%EF%A5%81%E6%96%87%E8%AA%8C&rft.au=%ED%95%9C%EC%9B%90%EC%84%AD&rft.au=%EA%B3%A0%EA%B4%91%EC%9A%A9&rft.au=%ED%97%88%EB%82%99%EC%9B%90&rft.au=%EC%9D%B4%EC%B2%A0%EA%B8%B0&rft.date=2010-10-30&rft.issn=1738-0774&rft.eissn=2384-1729&rft.volume=9&rft.issue=5&rft.spage=49&rft.epage=5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1011949347873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738-0774&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738-077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