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시대의 일 지방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
본 연구는 일 지역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총 260명으로 2014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상태 특성별 일상생활동작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식습관 문제, 음주, 부적절한 건강관리, 관리군이었고,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스트레스 유무와 약물남용이었다. 독거노인이 지각한...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4; no. 7; pp. 251 - 25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30.07.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16.14.7.251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일 지역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총 260명으로 2014년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상태 특성별 일상생활동작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식습관 문제, 음주, 부적절한 건강관리, 관리군이었고, 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스트레스 유무와 약물남용이었다. 독거노인이 지각한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음의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일상생활동작과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프로그 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하다. 나이가 들면서 체중변화와 만성질환으로 일상생활동작이 불편한 독거노인의 일상생활동 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적용과 스트레스 관리 전략적용이 요구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624557929435 G704-002010.2016.14.7.044 |
ISSN: | 2713-6434 2713-6442 |
DOI: | 10.14400/JDC.2016.14.7.2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