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 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융복합연구 Vol. 14; no. 2; pp. 315 - 324
Main Authors 정은서, 이경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9.0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713-6434
2713-6442
DOI10.14400/JDC.2016.14.2.315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 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List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on counsel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related to teeth car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320 subjects in Seoul and Gyeonggi from May to August, 2015 after permission from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Except 18 copies, 30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ques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en questions of the awareness toward of subjective teeth, five questions of the influence of teeth on appearance, and ten questions of self-esteem. The dependent variables made a 23.4% prediction of self-esteem. If they have higher education(p<0.001), influence of teeth on appearance(p<0.001) and the awareness toward of subjective teeth(p<0.001)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The findings suggest that heightened subjective awareness toward teeth seems to be of use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erefore it'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take good care of teeth in terms of color or arrangement as well as oral health.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 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on counsel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related to teeth car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320 subjects in Seoul and Gyeonggi from May to August, 2015 after permission from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Except 18 copies, 302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9.0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ques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en questions of the awareness toward of subjective teeth, five questions of the influence of teeth on appearance, and ten questions of self-esteem. The dependent variables made a 23.4% prediction of self-esteem. If they have higher education(p<0.001), influence of teeth on appearance(p<0.001) and the awareness toward of subjective teeth(p<0.001)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The findings suggest that heightened subjective awareness toward teeth seems to be of use for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Therefore it's required to make an effort to take good care of teeth in terms of color or arrangement as well as oral health. KCI Citation Count: 5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 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uthor 이경희
정은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정은서
– sequence: 2
  fullname: 이경희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667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kE1LAkEYx4coyMwv0CH2Ep20mdnZnZ2j2JsmCGHnYXadjUXT2PXSzcBbgnaQDDKUgjoqeSjwE7nTd2jM6PDwf15-_HmeZwus1xt1CcAOghlECIQHhcNcBkNk6zKDMyay1kACU2SmbULw-n9ukk2QiqLAhUTTDsMoAS7Uy3wxa6nRrRp-GuproPpt9dAz4k7ru_9k6Ka6GxrxpGvEbx01nsbdtnpsGeq5twTHM_V6v5j0Fh9zNRwY2igevav2dBts-KIWydSfJkH5-KicO00XSyf5XLaYlo6F0p4jmE8rglgUO0Qyx_Es6FLp-RUBfY-YJhUuhRL7ElvCoXqqQ1AfUdd2PWQmwf7Kth76vOoFvCGCX71s8GrIs-flPNe3syW5tyKrQdQMeL0S1Xghe1Zafg0yy8aM6Y2Y5nZXnBRhM_Bqkl-HwZUIbzi2TUSZ-QM0fIW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ACYCR
DEWEY 620
DOI 10.14400/JDC.2016.14.2.315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Engineering
DocumentTitleAlternat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teeth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self-esteem
EISSN 2713-6442
EndPage 324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27191
JAKO201609562998519
263179
GroupedDBID .UV
ALMA_UNASSIGNED_HOLDINGS
M1Z
JDI
ACYCR
ID FETCH-LOGICAL-e851-c8a9f7da457284e988c50b7ecfda0fc4337ab70e2fe25a87c507c5a7f17b6bc13
ISSN 2713-6434
IngestDate Sun Jun 08 03:20:23 EDT 2025
Fri Dec 22 12:04:01 EST 2023
Mon Sep 08 16:22:28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2
Keywords 치아 미용
Teeth satisfaction
Teeth awareness
자아존중감. 치아만족도
Self-esteem
외모만족도
치아 인식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851-c8a9f7da457284e988c50b7ecfda0fc4337ab70e2fe25a87c507c5a7f17b6bc13
Notes KISTI1.1003/JNL.JAKO201609562998519
G704-002010.2016.14.2.048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956299851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0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27191
kisti_ndsl_JAKO201609562998519
earticle_primary_26317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229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2-29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16
  text: 20160229
  day: 29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디지털정책학회
SSID ssib042018921
ssib046774051
ssib053377220
Score 1.5981472
Snippet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on counseling,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for patients related to teeth care. A...
SourceID nrf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315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및 신뢰도 2.3 자료분석 3. 연구성적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3.2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 3.3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3.4 치아만족도 3.5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아만족도 3.6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 3.7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3.8 자아존중감과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9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고찰 및 제언 5. 결론 REFERENCES
Title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6317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1609562998519&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86676
Volume 1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 14(2), , pp.315-324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EBS
  databaseName: EBSCOhost Business Source Ultimate
  customDbUrl:
  eissn: 2713-6442
  dateEnd: 99991231
  omitProxy: false
  ssIdentifier: ssib046774051
  issn: 2713-6434
  databaseCode: AKVCP
  dateStart: 201507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search.ebscohost.com/login.aspx?authtype=ip,uid&profile=ehost&defaultdb=bsu
  providerName: EBSCOhos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KjtxYsoftWPkoNzKqnJZLLJHJPsltrix6GV3kK-RsrKVtbtxVOF3iy0HooVrLQo6LHFHhT6i7rxJwi-N5Nds1RBhd3k8ebNm_cxTN4LMy-E3MkTkXNfOqbrFczk0pZm6kvXZEXiiJwlPM_x7PD9B425JT6_7C6Pjf2o7Vpa66Uz2Yvfniv5H68CDvyKp2T_wbNDpoAAGPwLV_AwXP_Kx7QV0cChYURbAQ057lpAjAXhIQKiSUN_GqFQUOErlEt9rgCPCgvaQupHql8T20Q0PeyIgB8CrKhCYDqroMDDLjiOTUNbcZgdMBXASnNoAfuRAZFaA5wKWwlsKRoAtApqXIECD5UJUZlAi8JhtHooja2C4w-ZepUSSKY1Ba1dJbmjAKVfICrdQz0wYIZviSvTAZWWRBsT-IkRErQNV50ZDZuKb3PApXp7YqsN19UrFrXIMkjSTYjK-MgTgddmPqst744-elpFCo4-_X3mIcS5_sB2M8Ktgw1AzLCZYdeR4t6sAfGbOEcmmNdosHEyESw8jh4NFkQO3f1avTp4qHm8Vk8NQnVIjlTp0aEe1cEwlOHuGQkw4qpmKyRjmKGsQEzV6cpaTLV4kVyokiEj0LSXyFh79TJZKj-cnB6vl_svy72vRvltt9zZKN9sG_3N9e877wxAlq_2jP7hltH_tFkeHPW3Nsq360b5fhsJD47Lj69PD7dPv5yUe7sGMOrvfy43jq6QxdnWYjRnVh__MAtIAszMT4T08oS7HgRQhfD9zLVSr8hknlgy46B5knpWwWTB3MT3oBX-iSdtL22kme1cJeOd1U5xnRgZcwosfGgJKbiTJinLM-Y6RZqxlEtHTpJrA6PEz3SJl1j7ZZJMKRvFnfz503g-WHiI1sTSnRDEgZRAYIDx4na2EmOZdrw_WY3b3RiS0Xsx-ETYN_7I_SY5_2tG3iLjve5acRsi3F46Vc2Dn_rOiO8
linkProvider EBSCOhost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3%BC%EA%B4%80%EC%A0%81%EC%9D%B8+%EC%B9%98%EC%95%84%EC%97%90+%EB%8C%80%ED%95%9C+%EC%9D%B8%EC%8B%9D+%EB%B0%8F+%EB%A7%8C%EC%A1%B1%EB%8F%84%EC%99%80+%EC%9E%90%EC%95%84%EC%A1%B4%EC%A4%91%EA%B0%90%EA%B3%BC%EC%9D%98+%EA%B4%80%EB%A0%A8%EC%84%B1&rft.jtitle=%EB%94%94%EC%A7%80%ED%84%B8%EC%9C%B5%EB%B3%B5%ED%95%A9%EC%97%B0%EA%B5%AC&rft.au=%EC%A0%95%EC%9D%80%EC%84%9C&rft.au=%EC%9D%B4%EA%B2%BD%ED%9D%AC&rft.date=2016-02-29&rft.issn=2713-6434&rft.volume=14&rft.issue=2&rft.spage=315&rft.epage=324&rft_id=info:doi/10.14400%2FJDC.2016.14.2.315&rft.externalDocID=263179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713-643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713-643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