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신건강 서비스의 배경과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에 따른 정신건강작업치료사의 함의
서론 : 한국은 1970년대에 들어오면서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이루어졌고,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가 전 분야에 걸쳐서 발생했다. 이러한 변화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혐오와 낙인, 사회적 편견이 심화되었다. 이에 1995년 12월 30일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었고, 지속 적인 법률 개정을 통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증진의 장을 신설하고, 정신질환자의 범위 축소 및 관련 복지서비스 등이 개선ㆍ보완되었다. 본론 : 현재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사회적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Saved in:
| Published in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 30; no. 4; pp. 19 - 33 |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작업치료학회
31.12.2022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0134 2671-4450 |
Cover
Table of Contents:
-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s Appendix
-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본 론 1. 한국 정신건강 서비스의 현재 2. 한국 정신건강전문요원 3. 정신건강작업치료사의 역할 Ⅲ. 결 론 1. 한국 정신건강작업치료사를 위한 함의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