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의 번아웃과 대처, 회복 경험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특징과 대처 방법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론사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7년 이상인 언론인 중, 번아웃을 경험한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개방코딩에서 총 168개의 개념, 40개의 하위 범주, 21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의 특징 및 관련 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자기인식이 부정적일수록 번아웃 정도가 심각했고, 대처 방법이 부족할수록 회복 수준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언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미디어와 인격권 Vol. 11; no. 1; pp. 77 - 128
Main Authors 구문선, 유영권, 이재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언론중재위원회 15.04.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5-9207
2465-9460
DOI10.22837/pac.2025.11.1.77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특징과 대처 방법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론사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7년 이상인 언론인 중, 번아웃을 경험한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개방코딩에서 총 168개의 개념, 40개의 하위 범주, 21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의 특징 및 관련 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자기인식이 부정적일수록 번아웃 정도가 심각했고, 대처 방법이 부족할수록 회복 수준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언론인들은 적극적인 외부 활동을 통해 번아웃을 극복했고, 회복 결과 부정적 자기 인식이 개선되고, 업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은 크게 ‘직업긍지형’, ‘대안모색형’, ‘인정추구형’, ‘고군분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번아웃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연구들과 달리, 언론인 번아웃의 대처 방법 및 회복 경험에 대해 실체적인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및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혔고, 이를 다시 유형별로 분석하여 개인의 심리 내적 상태와 대처 방법에 따라 번아웃과 회복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List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특징과 대처 방법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론사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7년 이상인 언론인 중, 번아웃을 경험한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개방코딩에서 총 168개의 개념, 40개의 하위 범주, 21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의 특징 및 관련 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자기인식이 부정적일수록 번아웃 정도가 심각했고, 대처 방법이 부족할수록 회복 수준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언론인들은 적극적인 외부 활동을 통해 번아웃을 극복했고, 회복 결과 부정적 자기 인식이 개선되고, 업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은 크게 ‘직업긍지형’, ‘대안모색형’, ‘인정추구형’, ‘고군분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번아웃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연구들과 달리, 언론인 번아웃의 대처 방법 및 회복 경험에 대해 실체적인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및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혔고, 이를 다시 유형별로 분석하여 개인의 심리 내적 상태와 대처 방법에 따라 번아웃과 회복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oping mechanism, and recovery experiences of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burnout.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a media organization and have more than seven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 total of 168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 review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s'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and related factors found that the more negative their self-perceptions are, the more severe their burnout. This also results in lower levels of coping and recovery. Journalists overcame burnout through active external activities. After recovery, negative self-perception improved, and positive changes in work were observed. Four types of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among journalists were identified: job security, alternative seeking, recognition seeking, and struggle seeking.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burnout of journalis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substantive theory on how to recover from and cope with burnout based on the journalists’ actual experiences.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특징과 대처 방법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론사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7년 이상인 언론인 중, 번아웃을 경험한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개방코딩에서 총 168개의 개념, 40개의 하위 범주, 21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의 특징 및 관련 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자기인식이 부정적일수록 번아웃 정도가 심각했고, 대처 방법이 부족할수록 회복 수준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언론인들은 적극적인 외부 활동을 통해 번아웃을 극복했고, 회복 결과 부정적 자기 인식이 개선되고, 업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은 크게 ‘직업긍지형’, ‘대안모색형’, ‘인정추구형’, ‘고군분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번아웃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연구들과 달리, 언론인 번아웃의 대처 방법 및 회복 경험에 대해 실체적인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및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밝혔고, 이를 다시 유형별로 분석하여 개인의 심리 내적 상태와 대처 방법에 따라 번아웃과 회복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특징과 대처 방법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론사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7년 이상인 언론인 중, 번아웃을 경험한 14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근거이론에 입각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개방코딩에서 총 168개의 개념, 40개의 하위 범주, 21개의 범주를 도출했다.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의 특징 및 관련 요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고찰한 결과, 자기인식이 부정적일수록 번아웃 정도가 심각했고, 대처 방법이 부족할수록 회복 수준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언론인들은 적극적인 외부 활동을 통해 번아웃을 극복했고, 회복 결과 부정적 자기 인식이 개선되고, 업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은 크게 ‘직업긍지형’, ‘대안모색형’, ‘인정추구형’, ‘고군분투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번아웃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던 연구들과 달리, 언론인 번아웃의 대처 방법 및 회복 경험에 대해 실체적인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및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을 밝혔고, 이를 다시 유형별로 분석하여 개인의 심리 내적 상태와 대처방법에 따라 번아웃과 회복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데서 연구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coping mechanism, and recovery experiences of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burnout.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employed in a media organization and have more than seven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 total of 168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A review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journalists'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and related factors found that the more negative their self-perceptions are, the more severe their burnout. This also results in lower levels of coping and recovery. Journalists overcame burnout through active external activities. After recovery, negative self-perception improved, and positive changes in work were observed. Four types of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among journalists were identified: job security, alternative seeking, recognition seeking, and struggle seeking.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burnout of journalis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substantive theory on how to recover from and cope with burnout based on the journalists’ actual experiences.
Author 이재진
구문선
유영권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구문선
– sequence: 2
  fullname: 유영권
– sequence: 3
  fullname: 이재진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85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pFjE1LAkEch4cwyMwPEEHsOdrtPy87M94S6UUQgvC-7K4zsWgqu126CXXo4KGLKZVQ9w6hCR7qC-2O3yHJotPzg-fht4ly7U5bIbSNwSFEUnHQ9UOHAHEdjB3sCLGG8oRx1y4xDrm_TUBsoGKSRAEwJlyKOc-jQ_Mwz15fzHhuxiMrm9yZwa15ukmnn1bW75nJaN9aPPaz6cxKJ1-L4cgM7630o7cYPFtm-J7O3rbQuvZbiSr-soDqx0f1yqldOzupVso1WwkpbAlKsoBoQpgPrh-6mouQBRw0pTRUUjNOwMVcNQCXghKXuuHKgAYhliA0BlpAe6vbdqy9Zhh5HT_64UXHa8Ze-bxe9TAIIKwklvHOKm5GSeJ14-jSj689hjnhjC3t7soqP76Kwpb6LzgHTuk3QOp09w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HZB
Q5X
ACYCR
DOI 10.22837/pac.2025.11.1.77
DatabaseName e-article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언론인의 번아웃과 대처, 회복 경험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Burnout, Coping, and Recovery Experience of Journalists
EISSN 2465-9460
EndPage 12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702497
4162644
466063
GroupedDBID M1Z
M~E
HZB
Q5X
ACYCR
ID FETCH-LOGICAL-e787-80e84b2f224a05ac5f67c4b60f333ce8f4620516ed019b968fd58b3bc1807f103
ISSN 2465-9207
IngestDate Sun Apr 27 03:10:35 EDT 2025
Wed Aug 20 02:13:45 EDT 2025
Tue Apr 22 16:20:44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1
Keywords journalists’ burnout
언론인의 번아웃
번아웃 회복 전략
번아웃 회복 경험
burnout recovery experiences
근거 이론
burnout recovery strategies
번아웃 대처 방법
grounded theory
coping mechanism of burnout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787-80e84b2f224a05ac5f67c4b60f333ce8f4620516ed019b968fd58b3bc1807f103
Notes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850
PageCount 5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02497
kiss_primary_4162644
earticle_primary_46606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50415
PublicationDateYYYYMMDD 2025-04-15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5
  text: 20250415
  day: 1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미디어와 인격권
PublicationTitleAlternate 미디어와 인격권
PublicationYear 2025
Publisher 언론중재위원회
Publisher_xml – name: 언론중재위원회
SSID ssib044753166
ssib040271881
Score 1.9201648
Snippet 본 연구는 언론인들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특징과 대처 방법에 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언론사에 재직 중인 근무경력 7년 이상인 언론인...
SourceID nrf
kiss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77
SubjectTerms burnout recovery experiences
burnout recovery strategies
coping mechanism of burnout
grounded theory
journalists’ burnout
근거 이론
번아웃 대처 방법
번아웃 회복 경험
번아웃 회복 전략
신문방송학
언론인의 번아웃
TableOfContent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1. 번아웃과 회복 2. 언론인의 번아웃과 대처 방법 Ⅲ.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 절차와 결과에 대한 타당성 평가 Ⅳ. 연구 결과 1. 언론인의 번아웃과 회복 경험 자료의 범주화 2. 근거이론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3. 유형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Title 언론인의 번아웃과 대처, 회복 경험에 관한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66063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62644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93850
Volume 11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미디어와 인격권, 2025, 11(1), 23, pp.77-128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465-9460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53166
  issn: 2465-9207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b9Mw1NrGhQsCjY-OD0UCn0qLE9uJfSPJsg2kcRrSblGTxggqtai0QuKAJsGBww5cxiZgEtw5oI1JO8AfarP_wLOTpmPbAZCq9MnPfn72c99HHT8jdIeSdkJkqhpEeRCg2Fw1RCbTRkpbbapaspV4-qDw6iN35TF7uM7XZ2YXjr21NBwkzfTVmedK_keqUAZy1adk_0GyFVEoABjkC0-QMDz_SsY4CrF0cSBwFGDfxj4xJYumxABS1DUucLAoijgWzAABFhRHPg4oDkJTSYT6tQfAQW0p9NzjCCj4GqFpQEVeN00cHCwanKcramoAkALHDJFF3ZPUFAwyIAbHcZnp8dmEf2B7qeRfMv0pR1QAEmjVjw3JdO1LA7jA1mS1VMQNwbAcPgzUrzZjloegvvRx0-60EdANJ3MmwKU-RRdUYd2ow_ryy6xcv-U_JA7Xmz3FGVGzps-WhQ-Dsg0qMuyZLisJSFLN8FQhO8zlDekUt_RW1sM-9SspTEFxO81JC2WyDZl7lXX-TIeDyWrazfImmz8Tf4OrrL3VWXTO8VxX386x-jqa6EoI-8GrmJ4Z1nkbqW225is2i0180-O9k_1p36tct-CMQKzyApyrbl8dc67WLqILZVRk-UXVS2im05tH9_MPh-OvX_Ldw3x3xxrvvcu33uaf3oz2f1rjzY18b-eudfRxc7x_YI32fh1t7-Tb763Rj42jrc9Wvv19dPDtMlpbitbClUZ54UcjA7sBzlImWOIo8CpbhLdSrlwvZYlLFKU0zYRirgM2xM3aEJck0hWqzUVCk9QWxFM2oVfQXLfXza4hS3DmeJxTlmWSOUqJlJC23pK323YGaqmGrk6GHz8v0rrEzIVgntbQvJ6NaWkhhRq6DbMTd9KnsU7Irr-f9OJOP4aw80Fsg-F0mPQWzm58HZ2frssbaG7QH2Y3wZcdJLeMUH8DNB19H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6%B8%EB%A1%A0%EC%9D%B8%EC%9D%98+%EB%B2%88%EC%95%84%EC%9B%83%EA%B3%BC+%EB%8C%80%EC%B2%98%2C+%ED%9A%8C%EB%B3%B5+%EA%B2%BD%ED%97%98%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B%AF%B8%EB%94%94%EC%96%B4%EC%99%80+%EC%9D%B8%EA%B2%A9%EA%B6%8C&rft.au=%EA%B5%AC%EB%AC%B8%EC%84%A0&rft.au=Gu+Moonsun&rft.au=%EC%9C%A0%EC%98%81%EA%B6%8C&rft.au=You+Young+Gweon&rft.date=2025-04-15&rft.pub=%EC%96%B8%EB%A1%A0%EC%A4%91%EC%9E%AC%EC%9C%84%EC%9B%90%ED%9A%8C&rft.issn=2465-9207&rft.volume=11&rft.issue=1&rft.spage=77&rft_id=info:doi/10.22837%2Fpac.2025.11.1.77&rft.externalDocID=416264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465-9207&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465-9207&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465-9207&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