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현실에서 생성형 AI 이미지와 현실 사진 공간 경험 비교 연구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 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디자인학과 대학생 28명이 참여하였고, 도시, 자연, 카페의 세 가지 환경을 기반으로 현실 사진과 생성형 AI 이미지 각각 3장씩을 체험한 후, 몰입감·언캐니·실재감을 각각 3문 항의 리커트 척도 및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도 시와 카페 환경에서는 현실 사진이 몰입감에서 유의하게 높고(p=0.005...
Saved in:
|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11; no. 4; pp. 497 - 504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8.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Abstract |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 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디자인학과 대학생 28명이 참여하였고, 도시, 자연, 카페의 세 가지 환경을 기반으로 현실 사진과 생성형 AI 이미지 각각 3장씩을 체험한 후, 몰입감·언캐니·실재감을 각각 3문 항의 리커트 척도 및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도 시와 카페 환경에서는 현실 사진이 몰입감에서 유의하게 높고(p=0.005, p=0.029), AI 이미지는 언캐니가 더 높았다 (p=0.004, p=0.003). 자연 환경에서는 몰입감과 실재감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언캐니만 다소 높게 나타났다 (p=0.043). 이는 자연 환경에서는 생성형 AI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현실성과 유사한 시각적 신호를 제공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AI 기반 VR 콘텐츠의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탐색하고, 향후 AI 이미지의 자연스러운 표 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
| AbstractList |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이미지는 도시, 자연, 카페로 분류하였으며,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현실 사진과 AI 이미지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도시와 카페에서는 AI 이미지가 더 높은 언캐니 경험을 유발하고 몰입감은 현실 사진이 더 높았으나, 자연 환경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AI 이미지의 인식이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인공적 공간에서 몰입감 저하와 언캐니 현상이 두드러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AI 기반 VR 콘텐츠의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탐색하고, 향후 AI 이미지의 자연스러운 표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flow, uncanny experience, and presence perceived by users when experiencing 360-degree images generated by generative AI and real 360-degree photographs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The target imag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environments: city, nature, and café, and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real photos and AI-generated images. As a result, AI-generated images induced a stronger uncanny experience and lower flow than real photos in city and café environments,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nature environment. This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AI-generated images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with artificial spaces showing lower flow and a more pronounced uncanny eff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ploring factors that enhance the presence of AI-based VR content and providing fundamental insights for improving the natural representation of AI-generated images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 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디자인학과 대학생 28명이 참여하였고, 도시, 자연, 카페의 세 가지 환경을 기반으로 현실 사진과 생성형 AI 이미지 각각 3장씩을 체험한 후, 몰입감·언캐니·실재감을 각각 3문 항의 리커트 척도 및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도 시와 카페 환경에서는 현실 사진이 몰입감에서 유의하게 높고(p=0.005, p=0.029), AI 이미지는 언캐니가 더 높았다 (p=0.004, p=0.003). 자연 환경에서는 몰입감과 실재감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언캐니만 다소 높게 나타났다 (p=0.043). 이는 자연 환경에서는 생성형 AI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현실성과 유사한 시각적 신호를 제공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AI 기반 VR 콘텐츠의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탐색하고, 향후 AI 이미지의 자연스러운 표 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 Author | 박수경 이태구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박수경 – sequence: 2 fullname: 이태구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926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9jE1LAkEAhocwyMy_EHMOFmZ2ZmdmjyJ9CEIQQsdhdpyNRVtj7dLNcm9dvIQr5C3wImQfQh36Q-v4H1pSOj0PLw_vPijFvdjsgLJLBHUQYaz0757YA9V-PwoQpZx6PsZlcJkvBnZ4D9dZah9f7Hhk02doh1Obvq2zJ1hrQDv9XL1-2dnATgbbDNqHuZ2lMP9Y5osC7z_rcQZX32m-HEE7XuTL-QHYDVW3b6pbVkDr5LhVP3Oa56eNeq3pGE8gRyviI62pa4RHvUALhhT2Q8KQFjzwcbEGVGlEOQtNoD2muRIKa8ZJwNuqTSrgaHMbJ6Hs6Ej2VPTHq57sJLJ20WpIjDhFrouK-HATG5XcRrpr5E0SXavkTlLuYpeRX6rzdEc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DBID | M1Z ACYCR |
| DatabaseName | 학술교육원 E-Article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A Comparative Study of AI-Generated Images and Real Photo Experiences in Virtual Reality |
| EISSN | 2384-0366 |
| EndPage | 504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740220 472126 |
| GroupedDBID | .UV M1Z ACYCR |
| ID | FETCH-LOGICAL-e580-ca390cc42e8545bc860a19f360c87b91854b4ac0476febc56c7a8a1c673b7dad3 |
| ISSN | 2384-0358 |
| IngestDate | Fri Sep 26 03:51:23 EDT 2025 Sun Sep 14 23:49:57 EDT 2025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4 |
| Keywords | Generative AI image Uncanny 생성형 AI 이미지 Presence 가상 현실 실재감 VR 몰입감 언캐니 Flow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580-ca390cc42e8545bc860a19f360c87b91854b4ac0476febc56c7a8a1c673b7dad3 |
| Notes |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64&page=49 |
| PageCount | 8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740220 earticle_primary_472126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50831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5-08-31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25 text: 20250831 day: 31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 PublicationYear | 2025 |
| Publisher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Publisher_xml |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2502398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
| Score | 1.9327116 |
| Snippet |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 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
| SourceID | nrf earticle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497 |
| SubjectTerms | 과학기술학 |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간 경험 분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분석
1. 신뢰도 분석
2. 대응표본 t-검정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
| Title | 가상 현실에서 생성형 AI 이미지와 현실 사진 공간 경험 비교 연구 |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7212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229268 |
| Volume | 11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문화기술의 융합, 2025, 11(4), , pp.497-504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b9MwFLfWnbggEF_jS5HAp6qTEzuJfUyaTivSkJCG2K1KnARBpXaatgsHNFhvXHZBHRK7Ie0yifFRCQ78Q136P_DsOG2HJjS4pM7L8_PPfo797DrvIfTQzliax74HGrBpg6XwKiZgiDZYTlOWpcTLtFOftcfe6lP2aMPdWKg9mTu1tLOdLMtX535X8j9aBRroVX0l-w-anQoFAqRBv3AFDcP1QjrGrQCHRB1WaDUxp2AV1nErwoJjzjQpxIFOCB-Lkolh0awbdhEZUmibbMKtB239GJ6FkBUErOCQK0rgm4KEgMQ5BZViHRw0K3ZFAoQUh24F1ZAcHEZaAgDjdVVOKLSsQPEKUjeoIUtJMi4iX1YVD1UxClik8IgyJ9f8AILjgJhaaPGQamoQcA-yhOpYagyHEmc7IRoFUQylCKhdBXXGMm2ZSLdg8yw8s33iuNV-sOnwFZducICm8l2sBroZNU-EA41MhLgMfVqO32AMsQahpWf65Wye5s3PGaw8oGzMD7eMxnzWM_gfM_YZ3-Bd-aLzvN_pbnVgBdTuqAO26uvpGqpRW4X0WHvdqgZYR20hurO_1WEsJ_P-Hx2qss7WBw7VIWGnAzZjPnPFbEKApYLvCR3idFpZZdSZFwLMtd5WPmeurV9Bl806ywpKnqtoodu_hp6NT3aLvTfW5GBQvPtUDPeLwUer2DssBl8mB--toG0Vh99PP_8ojnaLD7uGzSreHhdHA2v8bTQ-gZ-vvybDA-v052A82reK4cl4dHwdra-01purDRNZpJG5nDRkTAWRkjkZhwVEIrlHYlvk1COS-4kAE5YlLJaE-V6eJdL1pB_z2JaeTxM_jVN6Ay32-r3sFrJExlkiWB4LpoITiNhjMndtP3HsmBKZLqGbVXN0Nkv_MR3mg73oLaEH0DpafX9R4-0Lcd1Bl2Z9-y5a3N7aye6Bsbyd3Ncd4DcX8ZZT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0%80%EC%83%81+%ED%98%84%EC%8B%A4%EC%97%90%EC%84%9C+%EC%83%9D%EC%84%B1%ED%98%95+AI+%EC%9D%B4%EB%AF%B8%EC%A7%80%EC%99%80+%ED%98%84%EC%8B%A4+%EC%82%AC%EC%A7%84+%EA%B3%B5%EA%B0%84+%EA%B2%BD%ED%97%98+%EB%B9%84%EA%B5%90+%EC%97%B0%EA%B5%AC&rft.jtitle=%EB%AC%B8%ED%99%94%EA%B8%B0%EC%88%A0%EC%9D%98+%EC%9C%B5%ED%95%A9%2C+11%284%29&rft.au=%EB%B0%95%EC%88%98%EA%B2%BD&rft.au=%EC%9D%B4%ED%83%9C%EA%B5%AC&rft.date=2025-08-31&rft.pub=%EA%B5%AD%EC%A0%9C%EB%AC%B8%ED%99%94%EA%B8%B0%EC%88%A0%EC%A7%84%ED%9D%A5%EC%9B%90&rft.issn=2384-0358&rft.eissn=2384-0366&rft.spage=497&rft.epage=50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0740220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