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현실에서 생성형 AI 이미지와 현실 사진 공간 경험 비교 연구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 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디자인학과 대학생 28명이 참여하였고, 도시, 자연, 카페의 세 가지 환경을 기반으로 현실 사진과 생성형 AI 이미지 각각 3장씩을 체험한 후, 몰입감·언캐니·실재감을 각각 3문 항의 리커트 척도 및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도 시와 카페 환경에서는 현실 사진이 몰입감에서 유의하게 높고(p=0.005...
Saved in:
|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11; no. 4; pp. 497 - 504 |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8.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 Summary: | 본 연구는 생성형 AI로 제작된 360도 이미지와 실제 360도 사진을 VR 환경에서 체험할 때 사용자들이 느끼 는 몰입감, 언캐니,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는 디자인학과 대학생 28명이 참여하였고, 도시, 자연, 카페의 세 가지 환경을 기반으로 현실 사진과 생성형 AI 이미지 각각 3장씩을 체험한 후, 몰입감·언캐니·실재감을 각각 3문 항의 리커트 척도 및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하였다. 통계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도 시와 카페 환경에서는 현실 사진이 몰입감에서 유의하게 높고(p=0.005, p=0.029), AI 이미지는 언캐니가 더 높았다 (p=0.004, p=0.003). 자연 환경에서는 몰입감과 실재감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언캐니만 다소 높게 나타났다 (p=0.043). 이는 자연 환경에서는 생성형 AI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현실성과 유사한 시각적 신호를 제공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AI 기반 VR 콘텐츠의 실재감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탐색하고, 향후 AI 이미지의 자연스러운 표 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
| Bibliography: | http://www.ipact.kr/eng/bbs/board.php?bo_table=Recent_Issue_jcct&wr_id=64&page=49 |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