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교육에서 진로교육의 방향 - 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한국의 현대 사회에서 고학력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대학 진로교육 수업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 대학생 진로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진로교육이 학생 요구 반영, 저학년부터 단계적 실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학습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국내외 능력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 후에, 관련 교과목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교양교육연구, 9(4) pp. 73 - 109
Main Author 민춘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교양교육학회 31.1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3212
2714-1101

Cover

Abstract 한국의 현대 사회에서 고학력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대학 진로교육 수업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 대학생 진로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진로교육이 학생 요구 반영, 저학년부터 단계적 실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학습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국내외 능력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 후에, 관련 교과목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평가, 설문조사, 체크리스트 등의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논의하였다. 수업평가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 진로교육은 학생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입장에 대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수업평가의 서술형 문화, 설문조사, 체크리스트에 대한 응답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교육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에서도 진로교육은 저학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와 체크리스트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의 진로교육에서 스킬이나 능력을 학습할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 대학생 진로교육에서는 상담 활동이나 정보 전달과 더불어 직무 수행과 관련된 스킬이나 능력 학습을 포함하고 학습자 중심의 지속적ㆍ단계별 진로교육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학 진로교육에서는 진로 탐색 및 설계와 더불어 사회와 직업 생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학과 차원에서 실천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한다면, 교양교육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논문은 수업 사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여 보다 나은 대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기초 정보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소수 대상의 수업 사례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험 연구나 보다 구체적인 수업 설계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수요자 중심 교육과 능력 학습 중심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대학생 진로교육에 대한 탐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current article aims at analysing the process and the results from a pair of courses and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ollegiate career education in Korea. The position of this article is that the Korean career education should address the needs of the society and students such as developing the key competences, implementing the continuos and progressive program. Through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it primarily first identified that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worldwide put the emphasis on the students’ development of skills and competences in the field of the career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sed and compared the responses of course evaluation, survey, and checklist from the career education courses. As a result,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students think the courses more effective than previous ones when the courses reflect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next courses. Futhermore,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revealed that the career education should start at freshman stage and continue to the final semest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opinions colleges should provide the learn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acquire the critical skills and competences such as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literacy, and global sensitivity. Therefore, the Korean universities should develop career education policies which reflect the needs of the learners, offer the students continuous phased courses dealing with career education from first semester to final, and especially give the younger generation the opportunity to develop skills and competences needed for employability. In other words, the career education in the level of university should aim at learner-centered learning of key competences necessary for the job hunting beyond the career counseling and information conveying. This study can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an approach which evaluates the results of the case courses and present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For overcoming the limit of small subjects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researches are conducted with the cases participating the more students than the number in this article. In that case, the Korean students can prepare for their future and work. It ist also the important role of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KCI Citation Count: 9
AbstractList 한국의 현대 사회에서 고학력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대학 진로교육 수업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 대학생 진로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진로교육이 학생 요구 반영, 저학년부터 단계적 실시, 시대와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학습 중심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국내외 능력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 후에, 관련 교과목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평가, 설문조사, 체크리스트 등의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논의하였다. 수업평가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 진로교육은 학생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입장에 대한 사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수업평가의 서술형 문화, 설문조사, 체크리스트에 대한 응답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교육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에서도 진로교육은 저학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대한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와 체크리스트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의 진로교육에서 스킬이나 능력을 학습할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 대학생 진로교육에서는 상담 활동이나 정보 전달과 더불어 직무 수행과 관련된 스킬이나 능력 학습을 포함하고 학습자 중심의 지속적ㆍ단계별 진로교육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학 진로교육에서는 진로 탐색 및 설계와 더불어 사회와 직업 생활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학과 차원에서 실천하기 어려운 점을 감안한다면, 교양교육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다루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논문은 수업 사례를 통해 개선점을 모색하여 보다 나은 대학생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기초 정보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겠다. 소수 대상의 수업 사례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험 연구나 보다 구체적인 수업 설계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수요자 중심 교육과 능력 학습 중심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대학생 진로교육에 대한 탐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current article aims at analysing the process and the results from a pair of courses and providing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collegiate career education in Korea. The position of this article is that the Korean career education should address the needs of the society and students such as developing the key competences, implementing the continuos and progressive program. Through reviewing the previous researches, it primarily first identified that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worldwide put the emphasis on the students’ development of skills and competences in the field of the career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sed and compared the responses of course evaluation, survey, and checklist from the career education courses. As a result,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students think the courses more effective than previous ones when the courses reflect the needs of the student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next courses. Futhermore,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revealed that the career education should start at freshman stage and continue to the final semest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opinions colleges should provide the learn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acquire the critical skills and competences such as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nformation literacy, and global sensitivity. Therefore, the Korean universities should develop career education policies which reflect the needs of the learners, offer the students continuous phased courses dealing with career education from first semester to final, and especially give the younger generation the opportunity to develop skills and competences needed for employability. In other words, the career education in the level of university should aim at learner-centered learning of key competences necessary for the job hunting beyond the career counseling and information conveying. This study can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an approach which evaluates the results of the case courses and present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For overcoming the limit of small subjects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researches are conducted with the cases participating the more students than the number in this article. In that case, the Korean students can prepare for their future and work. It ist also the important role of the higher-education institutions. KCI Citation Count: 9
Author 민춘기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민춘기
  organization: (전남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3104$$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jMtKw0AYRgepYKx9h9m6CMz8mUtmWYqXQkGR7EPSTCRUEmheoEgFFy7qwrZCusiiiOAiG8FFn6gzfQdv3ZwDh4_vGLXyItcHyAFJmUspoS3kUCWF6wGFI9QpyywmhAklfU4ddG2eJruXV7z9nNn58y-r2i5mdlph-zY1dbVPqyU2zftuvsYuto9Lu3jA9v7D1BOz3uDtV2Oapa02P_sTdJhGd6Xu7N1GwflZ0Lt0B1cX_V534GouwVUJkTLxfO0DowAq5onPolTHiVIgVBQBUBFpkiacKck84EpoIYGkoNJhzLw2Ov2_zcdpOBpmYRFlf74twtE47N4E_ZBS7hMC3jfLdWZb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nalysis of the Case Courses and Suggestions for the Career Education In Korea
EISSN 2714-1101
EndPage 10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158002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LOGICAL-e572-9d077d38e8241229b5d84afebd99269aa2216ae0fd5497432596e6720f29fcb43
ISSN 1976-3212
IngestDate Tue Nov 21 21:31:04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72-9d077d38e8241229b5d84afebd99269aa2216ae0fd5497432596e6720f29fcb43
Notes G704-SER000001745.2015.9.4.009
PageCount 37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15800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1231
PublicationDateYYYYMMDD 2015-12-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2
  year: 2015
  text: 201512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교양교육연구, 9(4)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교양교육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교양교육학회
SSID ssib004697851
ssib009345133
ssib044738157
Score 1.5921656
Snippet 한국의 현대 사회에서 고학력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대학 진로교육 수업...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73
SubjectTerms 학제간연구
Title 대학 교양교육에서 진로교육의 방향 - 수업 사례를 기반으로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3104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교양교육연구, 2015, 9(4), 30, pp.73-109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714-1101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157
  issn: 1976-3212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swFBdtT9thbGxj35gxnYKHLUuydHTclG6wsUMGvQV_yGMEEgjppYdRRgc77NAd1maQHXIoY7BDLoMd-hfV7v-wJ0VJ3dFBuot4fpLfe9aTrd-znyWEnoRFErJMFi4liro0Y8RNWAA3XgKTP-dK5KnJ8n3JN1_T51tsa2X1ai1raXuYPs12Lvyv5H-8Cjzwq_5L9hKeXQgFBtDgXyjBw1Au5WPcamIR62SF1jqWDEuI8FsRbgIFrBhLjqV_nhPjyDdEaDmCArOhqSjUByASWkC7i08DPaKhGzU9HEmjl-OINVwjQgiotuIFm7EIjmIrVRsKBMPNeGao0GJmwux5MdQtbKgj50tcmJZpqkAxjCAJIJrW3ngY8RtGD2jjRrO1pf4OxGfzlRbtqJ138rxrovXlbLKuMUQE_qrNA4DS3IDYDG9leCT0qQtoya8972fbsFjk4HvybFadZxL8NdmeW9a7m73tvOl3uoMOBC_PIBhjwiyMuhr4ejOOF-9atQ_QEO7XPuDKgM535tHHlIYAvcy6tgvTAS31BkUNLbWvo2s2zHGi2Zi9gVa6_ZvoVflp9_TLV-fk13518FmX40l1uF_tjZ3q-145GVvWt5FTTn-cHhw5rlN9HFWHH5zq_c9yslseHTsnv6fldFSNj6H9LdTeaLXjTdfu6OEqFhJX5l4Y5oFQAnAjITJluaBJodJcSsJlkhDi80R5Rc4oxLkBhOZc8ZB4BZFFltLgNlrr9XvqDnKYl2ho7mekyKjkaVJIXwhB01zRjLDiLnoMF296-N89fW-ZRvfRlbMh9wCtDQfb6iEA0WH6yLjoD7-0bC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C%80%ED%95%99+%EA%B5%90%EC%96%91%EA%B5%90%EC%9C%A1%EC%97%90%EC%84%9C+%EC%A7%84%EB%A1%9C%EA%B5%90%EC%9C%A1%EC%9D%98+%EB%B0%A9%ED%96%A5+-+%EC%88%98%EC%97%85+%EC%82%AC%EB%A1%80%EB%A5%BC+%EA%B8%B0%EB%B0%98%EC%9C%BC%EB%A1%9C&rft.jtitle=%EA%B5%90%EC%96%91%EA%B5%90%EC%9C%A1%EC%97%B0%EA%B5%AC%2C+9%284%29&rft.au=%EB%AF%BC%EC%B6%98%EA%B8%B0&rft.date=2015-12-31&rft.pub=%ED%95%9C%EA%B5%AD%EA%B5%90%EC%96%91%EA%B5%90%EC%9C%A1%ED%95%99%ED%9A%8C&rft.issn=1976-3212&rft.eissn=2714-1101&rft.spage=73&rft.epage=10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115800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321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321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