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孝靖公慶壽詩集」 형식의 변천에 대한 연구
이 연구는 1509년 初刊, 1682년 2次, 1919년 3次로 간행된 「孝靖公慶壽詩集」을 중심으로 본문의 구성 체재와 내용의 추가 등에 대한 판본별 형식의 변천과정에 나타나는 내용을 살펴 본 것이다. 그 결과, 木板本은 石印本의 내용과 본문형식이 동일하고, 木活字本과 新式活字本 본문 구성체재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筆寫本은 木板本과 본문내용 및 체재가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孝靖公慶壽詩集」 현존본 중에서 1521년에 간행된 木板本을 중심으로 본문내용을 판본별로 對校해 보면 목활자본에 9건, 필사본 1건, 석인본 3...
Saved in:
Published in | 서지학연구, 0(44) pp. 211 - 23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서지학회
31.12.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09..44.211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1509년 初刊, 1682년 2次, 1919년 3次로 간행된 「孝靖公慶壽詩集」을 중심으로 본문의 구성 체재와 내용의 추가 등에 대한 판본별 형식의 변천과정에 나타나는 내용을 살펴 본 것이다.
그 결과, 木板本은 石印本의 내용과 본문형식이 동일하고, 木活字本과 新式活字本 본문 구성체재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筆寫本은 木板本과 본문내용 및 체재가 유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孝靖公慶壽詩集」 현존본 중에서 1521년에 간행된 木板本을 중심으로 본문내용을 판본별로 對校해 보면 목활자본에 9건, 필사본 1건, 석인본 3건, 신식활자본 3건 등에 새로운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가된 내용들은 효정공과 그 직계 내․외손들에 대한 기록들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text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of Hyojeonggong Gyeongsu-sijip first published in 1509, its second edition in 1682, and its third edition in 1919.
It was found tha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woodblock editions were the same as those of lithographic editions, and wooden type printing books and new-style type printing books were almost the same in them. The manuscript had the form and the contents similar to those of woodblock editions. When compared with the contents of the woodblock edition of Hyojeonggong Gyeongsu-sijip printed in 1509, nine items were added to the edition printed with wooden types, one item to the manuscript, three items to the lithographic edition, and three items to the edition printed with new-style types. What were added were the records about Hyojeonggong and his descendants.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0060.2009..44.012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09..44.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