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이야기집(今昔物語集)』日本部의 觀音관련 說話에 관한 考察 ─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본고는 『금석이야기집』일본부에 나타난 관음관련 설화를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관음의 공덕은 내세・후세와 관련된 이익과 현세에 관련된 이익, 그리고 ‘관음 스스로의 영험’으로 크게 나뉜다. 먼저 내세에 관한 것인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정토왕생의 기원’ ‘정토 왕생성취’ ‘소생담’ 등이 있다. 당시의 중생들은 육관음의 각각의 육도에서의 역할보다는 미분화된 전체로서의 관음신앙 그 자체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현세이익과 관련된 관음설화에 대해서인데, ‘치부(致富)와 빈곤의 구제’의 경우가 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日本學硏究, 49(0) Vol. 49; pp. 123 - 145
Main Authors 이시준, 장경남, 황민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일본연구소 30.09.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737X
2465-8448

Cover

Abstract 본고는 『금석이야기집』일본부에 나타난 관음관련 설화를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관음의 공덕은 내세・후세와 관련된 이익과 현세에 관련된 이익, 그리고 ‘관음 스스로의 영험’으로 크게 나뉜다. 먼저 내세에 관한 것인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정토왕생의 기원’ ‘정토 왕생성취’ ‘소생담’ 등이 있다. 당시의 중생들은 육관음의 각각의 육도에서의 역할보다는 미분화된 전체로서의 관음신앙 그 자체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현세이익과 관련된 관음설화에 대해서인데, ‘치부(致富)와 빈곤의 구제’의 경우가 가장 많고 ‘난(難)으로부터의 구제’ ‘치병(治病)’이 그 뒤를 잇는다. 당시의 중생들은 가장 현실적인 경제적 문제의 해소를 관음에게 기원하였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관음 스스로의 영험’은 불상의 영이담과 대역(代役) 영험담이 대표적이다. 관음의 종류로는 이른 시기에 일본에 유입된 성관음, 십일면관음이 첫 번째, 두 번째이고 이어서 천수관음 순이다. 가장 늦게 일본에 전파된 여의륜관음을 포함하여, 형상이 괴기하여 기피된 마두관음이나 천태와 진언에서 따로따로 숭상된 준지관음, 불공견색관음은 대중성이 있는 신앙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List 본고는 『금석이야기집』일본부에 나타난 관음관련 설화를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관음의 공덕은 내세・후세와 관련된 이익과 현세에 관련된 이익, 그리고 ‘관음 스스로의 영험’으로 크게 나뉜다. 먼저 내세에 관한 것인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정토왕생의 기원’ ‘정토 왕생성취’ ‘소생담’ 등이 있다. 당시의 중생들은 육관음의 각각의 육도에서의 역할보다는 미분화된 전체로서의 관음신앙 그 자체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현세이익과 관련된 관음설화에 대해서인데, ‘치부(致富)와 빈곤의 구제’의 경우가 가장 많고 ‘난(難)으로부터의 구제’ ‘치병(治病)’이 그 뒤를 잇는다. 당시의 중생들은 가장 현실적인 경제적 문제의 해소를 관음에게 기원하였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관음 스스로의 영험’은 불상의 영이담과 대역(代役) 영험담이 대표적이다. 관음의 종류로는 이른 시기에 일본에 유입된 성관음, 십일면관음이 첫 번째, 두 번째이고 이어서 천수관음 순이다. 가장 늦게 일본에 전파된 여의륜관음을 포함하여, 형상이 괴기하여 기피된 마두관음이나 천태와 진언에서 따로따로 숭상된 준지관음, 불공견색관음은 대중성이 있는 신앙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tale related to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Japanese part of Geumseok story collection(konjaku monogatarisyu) based on typ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good deeds. Above all, good deed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profit related to afterlife・afterworld, profit related to this world, and miracl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tself. Firstly, in respect of afterlife, concrete contents are ‘wish for rebirth in pure land’, ‘achievement of rebirth in pure land’, and ‘Sosaengdam’, etc. During that time, people seemed to have receiv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belief itself as the undifferentiated whole rather than the role in Yukdo respectively as YukAvalokitesvara Bodhisattva. Next, this research investig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tale related to the profit of this world, mostly of ‘way to fortune and relief from poverty’, and in order of ‘relief from struggle(難)’ and ‘disease healing’. accordingly, it was determined that the people of that period pray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for solution for the most realistic matter, economic problem. ‘Miracl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tself’ appeared representatively in Yeong-yidam of Buddhist statue and stand-in Yeongheomdam. Kind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ppeared in order of Seong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SibilmyeonAvalokitesvara Bodhisattva which flew in Japan in early period, then CheonsuAvalokitesvara Bodhisattva. Also, it was determined that MaduAvalokitesvara Bodhisattva, which had grotesque look and was evaded, including YeouiryunAvalokitesvara Bodhisattva, introduced to Japan the latest, JunjiAvalokitesvara Bodhisattva, respectively enshrined in Cheontae and Jineon, and BulgonggyeonsaekAvalokitesvara Bodhisattva did not attain the position of popular belief. KCI Citation Count: 1
본고는 『금석이야기집』일본부에 나타난 관음관련 설화를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관음의 공덕은 내세・후세와 관련된 이익과 현세에 관련된 이익, 그리고 ‘관음 스스로의 영험’으로 크게 나뉜다. 먼저 내세에 관한 것인데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정토왕생의 기원’ ‘정토 왕생성취’ ‘소생담’ 등이 있다. 당시의 중생들은 육관음의 각각의 육도에서의 역할보다는 미분화된 전체로서의 관음신앙 그 자체를 받아들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현세이익과 관련된 관음설화에 대해서인데, ‘치부(致富)와 빈곤의 구제’의 경우가 가장 많고 ‘난(難)으로부터의 구제’ ‘치병(治病)’이 그 뒤를 잇는다. 당시의 중생들은 가장 현실적인 경제적 문제의 해소를 관음에게 기원하였다는 사실을 잘 알 수 있다. ‘관음 스스로의 영험’은 불상의 영이담과 대역(代役) 영험담이 대표적이다. 관음의 종류로는 이른 시기에 일본에 유입된 성관음, 십일면관음이 첫 번째, 두 번째이고 이어서 천수관음 순이다. 가장 늦게 일본에 전파된 여의륜관음을 포함하여, 형상이 괴기하여 기피된 마두관음이나 천태와 진언에서 따로따로 숭상된 준지관음, 불공견색관음은 대중성이 있는 신앙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thor 황민호
이시준
장경남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시준
– sequence: 2
  fullname: 장경남
– sequence: 3
  fullname: 황민호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4444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tkE1LAkEAhocwyKy_EHusw8LOzs7u7DGiLwiC8tBtmbXZWDSNtUu3BS2yb0HRyM2KohShogIhf00ftur0H1qr0wsPz_se3mEQSqaSbACEZUXFIlEUEgJhiHUiakhbGQKj6bRtSjLSEFE1GAa5d_eo29zlWY97z7zY6jYf-G1-_ON1r10ufOVqfv28c7Yz8e4et0s37Uqjk7njXlnwb91O9an77PYu7gS_Xvdrj7x0IgTgu1gRfDfzeV8V3gpun3DvoF_hV9u9mzI_DdjTS--wyL2swK_zfL_BK63eZWUEDFo0kWaj_xkByzPT0ak5cWFxdn5qckFkWNVEiDWJUmpBhRBsSpKlIl1ilGBFwSai0NIYxSaUmYwCCGNQXYWKrpsQYxVSC0XA-N9q0rGMeMw2UtT-zbWUEXeMyaXovIEhQboWqGN_KqPOph1LMGPDsdeps2XIBAUHoh-UkJb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ACYCR
DatabaseName e-articl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tudy on the Tale related to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Japanese Part of Konjaku Monogatarisyu
EISSN 2465-8448
EndPage 145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18397
283373
GroupedDBID M1Z
M~E
ACYCR
ID FETCH-LOGICAL-e567-1570aaaf14885b00f6390ea85445b3a1f7ea5b12e23a851c16d1499b15561af3
ISSN 1598-737X
IngestDate Tue Nov 21 21:47:11 EST 2023
Fri Jan 24 04:13:50 ES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Keywords Nihon Ryoiki
공덕
금석이야기집
관음
Avalokitesvara Bodhisattva
Konjaku Monogatarishu
Charity
일본영이기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67-1570aaaf14885b00f6390ea85445b3a1f7ea5b12e23a851c16d1499b15561af3
Notes G704-001593.2016.49..015
PageCount 2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18397
earticle_primary_28337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6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16-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16
  text: 2016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日本學硏究, 49(0)
PublicationYear 2016
Publisher 일본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일본연구소
SSID ssib023738671
ssib036466764
ssib004697698
ssib030194371
ssib044739091
ssib025839342
Score 1.6158605
Snippet 본고는 『금석이야기집』일본부에 나타난 관음관련 설화를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관음의 공덕은 내세・후세와 관련된 이익과 현세에 관련된...
본고는 『금석이야기집』일본부에 나타난 관음관련 설화를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우선 관음의 공덕은 내세・후세와 관련된 이익과 현세에 관련된...
SourceID nrf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123
SubjectTerms 일본어와문학
TableOfContents <要旨> Ⅰ. 머리말 Ⅱ. 고대일본의 초기 관음신앙 및 관음의 종류 Ⅲ. 『금석(今昔)』에 나타난 내세관련 공덕의 관음영험담 Ⅳ. 『금석(今昔)』에 나타난 현세이익 및 관음 스스로의 영험담 Ⅴ. 맺음말 参考文献 <要旨>
Title 『금석이야기집(今昔物語集)』日本部의 觀音관련 說話에 관한 考察 ─ 관음의 종류와 공덕을 중심으로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283373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44446
Volume 4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日本學硏究, 2016, 49(0), 49, pp.123-145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465-8448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9091
  issn: 1598-737X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da9RAEA9tn3wRxa_6RQQXlOMkyW6S3cckl6MK-mKFvh3JXSJSaKW0Lz7IQatYvwstrXhnVSz9oKDSCgX711it1178H5zZy_VSUVDhyO1NfjszO5PszuZ2J4pyXouNyKqUwzyNyjzPBNXglgrtvBFQWrGt2DA03I189ZrVd4NdGTAHurormVVLY6PhpfKd3-4r-R-vAg38irtk_8Gze0yBAGXwLxzBw3D8Kx8Tn-JKBe4T3yEuJ5wT3yOcEVHAAhxdJgsmcb0U42pIcWwioA8DPCOuS7hDfIsITgTgbcIFcQTxOXEcIoC5IAIwMP0WbYlFibeJY8oCMPQQxilxeCpa8JxkYWMFZFEkLpVKMElxiaMBOpfKgQ8WBHF1yQAU1HIZeAFbITwJRw2AlUmcIrDN4YINgagsXurAvawyoKVBuClFm9haPCf26lHiynNcikoZsFY9huZC27qypR42GU0KP3UoZ0P8tuXlWWTK28qLtGHoAgeFdfJe7nMXCBFeKpZr-yC-tDhUNohbkMoaYMMOpIBS0Hcu2gZ1wLaDDtmnO7rVXorSGZAw3yu1B7IjVivJazrk6K392mn0oreSc_6SQxxiSGrTbqUbendc3nrXz_yzDQFpZ8ptYKarTMpD6P8Fy6RMpBbDVdF7fThjNhWaaKUlTlXFuC69JyBiGxqJMxFb_yHlYDrVUp0W5rDSNTh8RJncqj7d3XiQTNST-noys7m78SFZnLrw9fPD7bnp75PLjZVXOy_vX9yqPtueXdiure6MLyX1ObWxWN2ZX9tdrzZfL6mNlZXG8sdk9rkKhB8zNbVRHf_2fl79Ml1FSlJ_jFWSt_eaC3PJC6CtfWo-mUnqE2rybip5tJrUNptvakeV60W_3-vLp68jyUcmRBO6aWtBEMQ6DHkmGC6G2F6LAo7ZrEIa6LEdBWaoG5FBgaiXdauiMyFCHV9AG8T0mNIzNDwUnVDU0IwMFkcRDKaUlQMLMIIZQRjBbKBi8XKvcrxtv9LtVs6ZUsuDvco5MGdpsHyrhGnh8fvmcGlwpAST38slE2c79sk_1j6lHOhcYqeVntGRsegMhNSj4Vl5TfwEH92wW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3%80%8E%EA%B8%88%EC%84%9D%EC%9D%B4%EC%95%BC%EA%B8%B0%EC%A7%91%28%E4%BB%8A%E6%98%94%E7%89%A9%E8%AA%9E%E9%9B%86%29%E3%80%8F%E6%97%A5%E6%9C%AC%E9%83%A8%EC%9D%98+%E8%A7%80%E9%9F%B3%EA%B4%80%EB%A0%A8+%E8%AA%AA%E8%A9%B1%EC%97%90+%EA%B4%80%ED%95%9C+%E8%80%83%E5%AF%9F+%E2%94%80+%EA%B4%80%EC%9D%8C%EC%9D%98+%EC%A2%85%EB%A5%98%EC%99%80+%EA%B3%B5%EB%8D%95%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rft.jtitle=%EC%9D%BC%EB%B3%B8%ED%95%99%EC%97%B0%EA%B5%AC&rft.au=%EC%9D%B4%EC%8B%9C%EC%A4%80&rft.au=%EC%9E%A5%EA%B2%BD%EB%82%A8&rft.au=%ED%99%A9%EB%AF%BC%ED%98%B8&rft.date=2016-09-30&rft.issn=1598-737X&rft.volume=49&rft.spage=123&rft.epage=145&rft.externalDocID=28337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737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737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737X&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