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 효과 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대전, 충남, 충북 4개 시도에 근무 중인 직장인들이며 응답자는 총 286 명이다. 통계는 기술통계, 차이검정(t-test, ANOVA),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월급여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우울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탄...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6; pp. 355 - 363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30.11.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384-0358 2384-0366 |
Cover
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 효과 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대전, 충남, 충북 4개 시도에 근무 중인 직장인들이며 응답자는 총 286 명이다. 통계는 기술통계, 차이검정(t-test, ANOVA),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월급여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우울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충동성 및 우 울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충동성 및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충동성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 과 충동성은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충동 성 및 우울감 저하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 방안을 논의 및 제시하였다 |
---|---|
AbstractList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impulsivity in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depression among office work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ffice workers working in four cities: Seoul, Daejeon,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 and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286.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tes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double-mediated effect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salary. Secon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smartphone addic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mpulsivity and depression. Also, ego-resil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impulsivity and depression. Impulsiv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as a result of dual mediating effect analysis, it was found that ego-resilience and impulsivity played double-mediated role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measures centered on ego-resilience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in order to positively induce the decrease in impulsivity and depression due to smartphone addiction among office workers.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대전, 충남, 충북 4개 시도에 근무 중인 직장인들이며 응답자는 총 286명이다. 통계는 기술통계, 차이검정(t-test, ANOVA),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월급여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우울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충동성 및 우울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충동성 및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충동성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은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충동성 및 우울감 저하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 방안을 논의 및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 효과 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대전, 충남, 충북 4개 시도에 근무 중인 직장인들이며 응답자는 총 286 명이다. 통계는 기술통계, 차이검정(t-test, ANOVA),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월급여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우울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충동성 및 우 울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충동성 및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충동성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 과 충동성은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충동 성 및 우울감 저하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 방안을 논의 및 제시하였다 |
Author | 권세용 김형호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권세용 – sequence: 2 fullname: 김형호 |
BookMark | eNo9zL1Kw1AcBfCLVLDWvoJkcQwk9yvpWIrfhS7dw03uDQRrlKaLoxpBXNoOopa2OKRUwSGiSAefqPnnHaytOJ1z4MfZRIXwLFRrqIiJTXWDcF7478zeQOUoClyDUouyimkWUQjTSxhPYDSD0aMGd0k2vc3vZnk31SDpZ92b-ce3BoMUBrN52tPg6g1Gn_DQg3iowbgH93F-HWfPE4jfl_LrNes-LcbybSGTvpZNk3k6zAcvC7CF1n3RilT5L0uoubfbrB3o9cb-Ya1a1xUjWMeu8oVnW5xVbCkJIdxmElPfNU3PFdzDwhAV6fnS8hSXSrpMWJL7nhCc-YpjUkI7q9uTIOoETiijlnNUPW5gA2NCMbMY4zb9ddsrp0S7E3gt5Zy3g1PRvnAoNk2Lkx-st4X9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JDI |
DEWEY | 306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Science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iscipline | Social Sciences (General) |
EISSN | 2384-0366 |
EndPage | 363 |
ExternalDocumentID | JAKO202234257556842 421176 |
GroupedDBID | M1Z .UV JDI |
ID | FETCH-LOGICAL-e532-2befac876598dd333685d24fb11cba6c2a0a9dcfd7ce6dedb5a7d6fcaa65fe623 |
ISSN | 2384-0358 |
IngestDate | Fri Dec 22 12:03:42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6 |
Keywords | 이중 매개효과 Impulsivity Ego-resilience 자아탄력성 Depression 스마트폰 중독 우울감 충동성 Double Mediating Effect Smartphone Addiction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532-2befac876598dd333685d24fb11cba6c2a0a9dcfd7ce6dedb5a7d6fcaa65fe623 |
Notes | KISTI1.1003/JNL.JAKO202234257556842 |
OpenAccessLink |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3425755684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PageCount | 9 |
ParticipantIDs | kisti_ndsl_JAKO202234257556842 earticle_primary_421176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21130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2-11-30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11 year: 2022 text: 20221130 day: 30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문화기술의 융합 |
PublicationYear | 2022 |
SSID |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
Score | 1.8295463 |
Snippet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 효과 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대전, 충남,...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impulsivity in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
SourceID | kisti earticle |
SourceType |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
StartPage | 355 |
TableOfContents |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폰 중독
2. 스마트폰 중독 관련 요인
3. 주요 변인 간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 차이
2.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
3. 경로별 계수
4. 이중 매개효과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
Title |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1176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234257556842&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
Volume | 8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384-0366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45911 issn: 2384-035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Gh78lIUv-pHycGcSmQ3mSQzxyTdUirqZYXelkkmAbGsUtuLB0FdQXppexC1tMXDlip4WFGkB39Rd_Y_-N5kspuCgnoZ3sy8vHkzb_LmzdcbQm4VYAYEeSocUXDmUD90HUGzhiME2BcwxEpX4o7u3XvB8gO6suqvTk3P1k4tbW6kt7Nnv71X8j9ShTSQK96S_QfJjolCAsAgXwhBwhD-lYztVmJHIRiDCPCWHfkaWLRjZgDOFhBikR1RuxVrbMhbxJS4BJbsuKGRAIM3EQmSGFACDM-OE53HIdKoAKbz8IRESdy1o6QqmGoghDydBSQNgZZJ4j6mYsGeBoCnhmEconHzbLlxYEfc8MR5Daleu3G5ugYLpp5Y4ZLNBIsDxiM2Jl63ySe349aqExMJnsVfL_2Uwu9R-h3Na_sQaJivJEm7tpCiaQc2SyoumWmv6CwKx8MlyBDDtiiBmNVXX2Dibrw-VkoaLB7qNLzS_Xw1orDaj1MfHbzSI7ExNDyj2c-6-6YwIw-DaTINihhPoj5vVerRxQVAf7Ip7noU_T82J3H9gOtYvVIaUp9P1DcY9mHA9YOkY67RBDPdF2ZnOGV5WDOv2ufJrGl_KyqxLpCpR48vkq46fqEOj9TBiTp4b6mt_vD4zWjrZLQ9sFR_d7j9-vTbT0vtDdTeyelgx1Ivv6iD7-rdjurtW-pwR73tjV71hh-PVO-rxvzxebj9ASKaGmD2d63hcf90sD_a-wQIl0h7qdVOlh3zQIiT-57ruGleiAyGc58zKT0P31KQLi3SZjNLRZC5oiG4zAoZZnkgc5n6IpRBkQkR-EUOdv9lMtN93M2vEsuTPOcSnW0yQUN8alOGoMaaHoTcpWyOXKnaqfOkdAPTKSU1R-Z1s3W68ulaZyW6cx-7iYdDITr3o-61P356nZybdKkbZGZjfTO_CSbuRjqvBf8LeDWXBQ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A7%81%EC%9E%A5%EC%9D%B8%EC%9D%98+%EC%8A%A4%EB%A7%88%ED%8A%B8%ED%8F%B0+%EC%A4%91%EB%8F%85%EA%B3%BC+%EC%9A%B0%EC%9A%B8%EA%B0%90+%EC%82%AC%EC%9D%B4%EC%97%90%EC%84%9C+%EC%9E%90%EC%95%84%ED%83%84%EB%A0%A5%EC%84%B1%EA%B3%BC+%EC%B6%A9%EB%8F%99%EC%84%B1%EC%9D%98+%EC%9D%B4%EC%A4%91+%EB%A7%A4%EA%B0%9C%ED%9A%A8%EA%B3%BC&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A%B6%8C%EC%84%B8%EC%9A%A9&rft.au=%EA%B9%80%ED%98%95%ED%98%B8&rft.date=2022-11-30&rft.issn=2384-0358&rft.volume=8&rft.issue=6&rft.spage=355&rft.epage=363&rft.externalDocID=42117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