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혼합물의 함량변화에 따른 열적 특성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 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원인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방 법과 그에 따른 물질의 위험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화재 원인 감식과 감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에 의하여 피크의 위치, 모양, 개수,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열량 변화의 정량적인 정보를 통하여 열유속...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Vol. 19; no. 3; pp. 532 - 544
Main Authors 김주석, 고재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0.09.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2208
2671-5287

Cover

Abstract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 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원인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방 법과 그에 따른 물질의 위험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화재 원인 감식과 감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에 의하여 피크의 위치, 모양, 개수,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열량 변화의 정량적인 정보를 통하여 열유속 차이(Difference in heat flux)를 측정하였고, 열중량분석(TGA : Analyzer)을 시행함으로써 특정한 온도 에서 분해열 등에 의해 발생한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열 유속의 그래프에 서 물질의 끓는점과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치 또는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둘 째 바이오디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피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비점이 낮은 물질들이 함유하 고 있다는 것을 분석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디젤의 위험성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분석기법(DSC+TGA)을 통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질의 물적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 러 본 연구의 시험방법별 차이의 비교와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활용한다면 향후 위험물의 물성 연구와 물질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AbstractList Purpose: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risk of chemical fire causative substances by using thermal analysis methods (DSC, TGA) for the hazards and physical property changes that occur when newly used biofuels are mixed with existing fuels It is to use it for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cause of fire by securing data related to the method and the hazards of the material according to it.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experiment is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Difference in heat flux) through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caloric change from the location, shape, number, and area of peaks. flux) was measured, and the weight change caused by decomposition heat at a specific temperature was continuously measured by performing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Thermo- gravimetric Analyzer). Result: First, in the heat flux graph, the boiling point of the material and the intrinsic characteristic value of the material or the energy required for decomposition can be checked. Second, as the content of biodiesel increased, many peaks were identified. Third, it was confirmed through analysis that substances with low expected boiling points were contained.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physical risk of the material can be evaluated by using the risk of biodiesel, which is currently used as a new energy source, through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techniques (DSC + TGA).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test methods and the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know-how on experiment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future studies on physical properties of hazardous materials and risk assessment of materials.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원인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방법과 그에 따른 물질의 위험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화재 원인 감식과 감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하여 피크의 위치, 모양, 개수,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열량 변화의 정량적인 정보를 통하여 열유속 차이(Difference in heat flux)를 측정하였고, 열중량분석(TGA : Analyzer)을 시행함으로써 특정한 온도에서 분해열 등에 의해 발생한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열 유속의 그래프에서 물질의 끓는점과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치 또는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바이오디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피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비점이 낮은 물질들이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분석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디젤의 위험성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분석기법(DSC+TGA)을 통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질의 물적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시험방법별 차이의 비교와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활용한다면 향후 위험물의 물성 연구와 물질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 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원인물질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평가할 방 법과 그에 따른 물질의 위험성 관련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화재 원인 감식과 감정에 활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실험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시차주사열량계(DSC :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에 의하여 피크의 위치, 모양, 개수, 피크의 면적으로부터 열량 변화의 정량적인 정보를 통하여 열유속 차이(Difference in heat flux)를 측정하였고, 열중량분석(TGA : Analyzer)을 시행함으로써 특정한 온도 에서 분해열 등에 의해 발생한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열 유속의 그래프에 서 물질의 끓는점과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 특성치 또는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다. 둘 째 바이오디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많은 피크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셋째 비점이 낮은 물질들이 함유하 고 있다는 것을 분석 결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재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디젤의 위험성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분석기법(DSC+TGA)을 통하여 사용함으로써 물질의 물적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 러 본 연구의 시험방법별 차이의 비교와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하고 활용한다면 향후 위험물의 물성 연구와 물질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Author 고재선
김주석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주석
– sequence: 2
  fullname: 고재선
BookMark eNotjD1Lw0Achw-pYK39CpLFMXC5f5K7G0vxvdCle7gkFwjWKk0XtwouvgwOKY1gsUMFhQ4VKyj0E3l338FqnX7wPA-_TVTqnHXkGioTnzq2RxgtobLDqW8TgtkGqmZZGmLwCeUO8csoULNcj-a6mKg81-OJZYqFGbyq6UKPCssMXtTTtXrvm4dcD-8tlc_U86elh3M9vrTMzZe-evvjd30zeLT07cQMi6XSo99o9v0x3ULriWhnsvq_FdTa223VD-xGc_-wXmvY0gNsxx6TAiBhfiwoSQRPHBa5QF3JPGCUy3gpqaRuiD0SiYTISDgch2EkOHUSgAraWd2epFkvDTpx1g6OasdNggkQxl0AoIziZbe96qTo9tKoLYPzbnoquheBCx7zOfwADSl5z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DEWEY 363.34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Welfare & Social Work
EISSN 2671-5287
EndPage 544
ExternalDocumentID JAKO202328943337870
435869
GroupedDBID M1Z
M~E
.UV
JDI
ID FETCH-LOGICAL-e530-d58ea33f86da72fa9f18c4374e853879ed33f7e74b052caf2eca190bbca971f33
ISSN 1976-2208
IngestDate Fri Dec 22 11:58:46 EST 2023
Tue Oct 10 04:00:24 EDT 2023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Boiling Point
Mixed Compound
끓는점
Differential Scanning Thermal Analysis
분해열
가연성액체
Enthalpy
위험물안전관리법
엔탈피
Mass Loss Rate
열 유속
무게 감량
혼합화합물
Heat Flux
시차주사 열분석
온도상승 속도
열중량 분석
Thermogravimetric Analysis
Temperature Rise rate
Heat of Decomposition
유리전이온도
Flammable Liquid
Hazardous Material Safety Managemen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30-d58ea33f86da72fa9f18c4374e853879ed33f7e74b052caf2eca190bbca971f33
Notes KISTI1.1003/JNL.JAKO202328943337870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894333787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13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328943337870
earticle_primary_435869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23
  text: 2023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PublicationTitleAlternate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ublicationYear 2023
SSID ssib036279126
ssib022331887
ssib044738260
ssib007523208
ssib008451735
ssib053377406
Score 1.858787
Snippet 연구목적: 신규로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를 기존 연료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위험성과 물 성 변화를 열분석 방법(DSC, TGA)을 사용하여 화학 화재의...
Purpose: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risk of chemical fire causative substances by using thermal analysis methods (DSC, TGA) for the hazards and physical...
SourceID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532
TableOfContents ABSTRACT 요약 서론 바이오디젤의 연료로서의 특성 연구 배경 동향 연구 범위 및 목적 실험 방법 및 재료 실험분석 시차주사 열량계를 이용한 열 유속 분석 열중량 분석기를 이용한 질량 변화 열분석 연구 결과 및 고찰 열 유속변화를 통한 시차주사 열량분석 승온속도에 따른 열중량분석 결론 References
Title 바이오디젤 혼합물의 함량변화에 따른 열적 특성에 대한 실험적인 연구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5869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28943337870&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1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journalDatabaseRights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671-5287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38260
  issn: 1976-2208
  databaseCode: M~E
  dateStart: 2007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9tT17Eb6u15OB4WSJJZpKZOSbZLaVFvVTsbZnNTqC03ZXaXjxIBS9-HDxs6QoWe6ig0EPFCgr9i0zyP_hm8rFbKfhxCcN7L-9j3uzM72UnE8O4TQlJYpsKiyces4jEGFq2bcUwYGKC1WHVerfFfX_-IVlY9pYnJuOxXUtbm5278dMz3yv5n6wCDfKq3pL9h8zWSoEAbcgvXCHDcP2rHKNWiEIbcYJaEeJNFBYNhgKiWEAvWIENlAZqNRUvjHTDQwFXQkGkKfp-zhoVj2kFc4hpoRCrHRGKxStrFHG7UVoBH5QmD4VKgWaGlWHmaJ0sQCFXJAbizmkNLKq0e4hHWgMLdQxNLcVqVVWcIzNwH2gGh6NxmF0rq7hNLd9S0SqDrmZppSBWBBiS6i6uG4HySwl7uoOKnipcAZ_qkaotcB0AcHDZmRAlb54SwcrYyAktEtT_FS1swRS-2lhcWa8pQgKp11jsjz-YcXG1i6ReSwDpWa5rF8uL1DTXpw7U_iXGqBYgPvZDw2OriVc--i2AiVcclHn6zPDf1vJ6h-VCsPhAOeWq8_UxVtPypDGJHfWRj3vPWvWUSz2QGTveiRHPoSMEDeARJv0Rgge4Q7kzQuyEUAwFaj3lQ_EA9YT-om0dvoJ55U8EKkBVFq2MQbilC8b5svYyg0LqojGx2r9kzBQvqJuP5FoiNqR5x6wI_Y3Vy0Y7PRpke8fZ8CAdDLL9AzMfnuQ7n9PDk2xvaOY7n9IPL9Ov2_m7Qbb71kwHR-nH72a2e5ztPzfzVz-yF180_c12vvPezF4f5LtDYGV7Sujo57fDK8bSXGspmrfKj5JY0sO21fWYFBgnzO8K6iaCJw6DOY0SCbiXUS67wKSSEugLNxaJK2MBmLvTiQWnToLxVWOq1-_J64bJfajlfciRkDERwuNcOAlx465wQaXvTBvXqn5rPy6OnmlDccN8Pm3M6m5s97pP1tpnpPrGnwRuGudGQ3bGmNrc2JK3AF1vdmb1-PgFAAqrS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0%94%EC%9D%B4%EC%98%A4%EB%94%94%EC%A0%A4+%ED%98%BC%ED%95%A9%EB%AC%BC%EC%9D%98+%ED%95%A8%EB%9F%89%EB%B3%80%ED%99%94%EC%97%90+%EB%94%B0%EB%A5%B8+%EC%97%B4%EC%A0%81+%ED%8A%B9%EC%84%B1%EC%97%90+%EB%8C%80%ED%95%9C+%EC%8B%A4%ED%97%98%EC%A0%81%EC%9D%B8+%EC%97%B0%EA%B5%AC&rft.jtitle=%ED%95%9C%EA%B5%AD%EC%9E%AC%EB%82%9C%EC%A0%95%EB%B3%B4%ED%95%99%ED%9A%8C%EB%85%BC%EB%AC%B8%EC%A7%91&rft.au=%EA%B9%80%EC%A3%BC%EC%84%9D&rft.au=%EA%B3%A0%EC%9E%AC%EC%84%A0&rft.au=Ju+Suk+Kim&rft.au=Jae+Sun+Ko&rft.date=2023-09-30&rft.issn=1976-2208&rft.eissn=2671-5287&rft.volume=19&rft.issue=3&rft.spage=532&rft.epage=544&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JAKO20232894333787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976-220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976-220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976-220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