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발표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18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presentation education conducted between 2005 and January 2023 and to provide insight into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in this area. The study utilized Topic modeling and direct researcher analysis methods to examine Kor...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Foreign Languages Education, 30(4) Vol. 30; no. 4; pp. 149 - 170
Main Authors 김지현, 조희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외국어교육학회 31.12.2023
The Korea Association of Foregn Languages Education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4628
2384-1427
DOI10.15334/FLE.2023.30.4.149

Cover

Table of Contents:
  •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발표의 개념과 특징 2. 발표 능력과 발표 교육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연구 절차 IV. 연구 동향 분석 1. 연도별 양적 추이 분석 2. 키워드 출현 및 단어 동시 출현 분석 3. 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4. 연구 방법별 동향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동향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발표의 개념과 특징 2. 발표 능력과 발표 교육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연구 절차 IV. 연구 동향 분석 1. 연도별 양적 추이 분석 2. 키워드 출현 및 단어 동시 출현 분석 3. 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4. 연구 방법별 동향 분석 V.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