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3세 발달 지연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 : 유아의 언어 발달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의 발달이 촉진되어지는데, 감각 통합의 어려움이 있는 유아는 언어의 구사와 조음에서의 질적 결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감각 조절의 관계를 밝혀 적절한 중재의 개입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발달센터에 내원한 만 3세 유아 53명으로 성별은 남아 37명, 여아 16명이고월령의 범위는 36개월에서 47개월이었다. 검사 도구는 Short Sensory...
Saved in:
| Published in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 28; no. 2; pp. 131 - 139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작업치료학회
30.06.2020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6-0134 2671-4450 |
| DOI | 10.14519/kjot.2020.28.2.11 |
Cover
| Abstract | 연구목적 : 유아의 언어 발달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의 발달이 촉진되어지는데, 감각 통합의 어려움이 있는 유아는 언어의 구사와 조음에서의 질적 결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감각 조절의 관계를 밝혀 적절한 중재의 개입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발달센터에 내원한 만 3세 유아 53명으로 성별은 남아 37명, 여아 16명이고월령의 범위는 36개월에서 47개월이었다. 검사 도구는 Short Sensory Profile(SSP)를 2000년 김미선이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언어 발달은 영ᆞ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Scale for Infants; SELS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범주(PD)에 해당되었고, 언어 발달은 SELSI 검사 결과 등가연령 18개월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각조절의 어려움은 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동이 동반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결과로 보인다. 둘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특히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중 청각 여과하기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 중 표현 언어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각 영역감각 조절이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이며, 언어 발달이 더딘 유아가 표현 언어발달이 되기 위해서는 청각 여과하기를 다뤄주는 감각 통합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있음을 밝혔고 특히 감각 조절 중 청각 여과하기는 언어 발달 중 표현 언어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sensory modulation ofchildren, and to build a foundation as useful data for intervention of an appropriate media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53 children, 37 boys and 16 girls, aged 36 to 47 months. As thescreening tool, a Short Sensory Profile (SSP) was applied,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was used and evaluated for the language development.
Result: The difficulty in sensory modulation seems to be a result of problems in children with languagedevelopmental delays, as indicated by the sensory modulation of children 3 years in age with languagedevelopment delays, who are in the category of Probable Difference (PD) in the result of the SSP and whoselanguage development appeared to show an age equivalent of 18 months for the SELSI. Second, there was positiverelationship with language development in the sensory modulation of 3 year old children with languagedevelopmental delay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filtering andexpressive language.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of3 year ol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KCI Citation Count: 0 |
|---|---|
| AbstractList | 연구목적 : 유아의 언어 발달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의 발달이 촉진되어지는데, 감각 통합의 어려움이 있는 유아는 언어의 구사와 조음에서의 질적 결함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 발달과 감각 조절의 관계를 밝혀 적절한 중재의 개입에 유용한 자료로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발달센터에 내원한 만 3세 유아 53명으로 성별은 남아 37명, 여아 16명이고월령의 범위는 36개월에서 47개월이었다. 검사 도구는 Short Sensory Profile(SSP)를 2000년 김미선이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언어 발달은 영ᆞ유아 언어발달검사(Sequenced LanguageScale for Infants; SELS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SSP 검사 결과 어려움이 예상되는범주(PD)에 해당되었고, 언어 발달은 SELSI 검사 결과 등가연령 18개월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각조절의 어려움은 언어 발달이 지연된 아동이 동반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결과로 보인다. 둘째, 언어 발달의 지연을 보이는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은 언어 발달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특히 감각 조절의 하위 요인중 청각 여과하기와 언어 발달의 하위 요인 중 표현 언어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청각 영역감각 조절이 영유아의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이며, 언어 발달이 더딘 유아가 표현 언어발달이 되기 위해서는 청각 여과하기를 다뤄주는 감각 통합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발달이 지연된 만 3세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에는 서로 유의한 관계가있음을 밝혔고 특히 감각 조절 중 청각 여과하기는 언어 발달 중 표현 언어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sensory modulation ofchildren, and to build a foundation as useful data for intervention of an appropriate media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53 children, 37 boys and 16 girls, aged 36 to 47 months. As thescreening tool, a Short Sensory Profile (SSP) was applied,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was used and evaluated for the language development.
Result: The difficulty in sensory modulation seems to be a result of problems in children with languagedevelopmental delays, as indicated by the sensory modulation of children 3 years in age with languagedevelopment delays, who are in the category of Probable Difference (PD) in the result of the SSP and whoselanguage development appeared to show an age equivalent of 18 months for the SELSI. Second, there was positiverelationship with language development in the sensory modulation of 3 year old children with languagedevelopmental delays,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high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y filtering andexpressive language.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of3 year old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s. KCI Citation Count: 0 |
| Author | 조학렬 |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조학렬 organization: (우리들아동청소년상담센터) |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349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 BookMark | eNo1kD9Lw0Achg-pYK39Ak5ZHBwS73d3ucuNpfinUBCkzuHSJFIjOWi7uFXoIOjQpa1DhTp16RBphQ5-ovT8Dlar08MLD8_w7qNCqtMIoUPADjAX5Elyq7sOwQQ7xHOIA7CDioQLsBlzcQEVgRBuY6BsD5U7nVaAMeNSCBBFpNazZ4ua_spaZ5P109wys54ZZ5aZTM2wb15frDwb5NmDZd4yM33MF5-WGa3MaPnv59nWWvbyRd_038148DO-hhNr08k_5gdoN1Z3naj8xxK6PjttVC_s-uV5rVqp2xGACzaFCERMqAIXhxCGoXKVizkA4TKKZUw9wmkYSuaJABQJmFKEB55oxpLRwOO0hI633bQd-0mz5WvV-uWN9pO2X7lq1Hy5eUty2LhHWze514H2A62TZpR2o7bPsIsxF5xJTDH9BqyWgjc |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 Copyright |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 Copyright_xml | – notice: COPYRIGHT(C) KYOBO BOOK CENTRE ALL RIGHTS RESERVED |
| DBID | P5Y SSSTE ACYCR |
| DOI | 10.14519/kjot.2020.28.2.11 |
| DatabaseName | Kyobo Scholar Journals Scholar(스콜라) Korean Citation Index |
| DatabaseTitleList |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 DocumentTitleAlternate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Modul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of 3 Year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 EISSN | 2671-4450 |
| EndPage | 139 |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9519961 4050067649030 |
| GroupedDBID | M~E P5Y SSSTE ACYCR |
| ID | FETCH-LOGICAL-e1151-31e17f23a150d1ddda5a50611269ef9f38263dd9487b1a2b4aa26b87cf943b863 |
| ISSN | 1226-0134 |
| IngestDate | Sun Mar 09 07:53:35 EDT 2025 Tue Feb 18 15:19:53 EST 2025 |
| IsPeerReviewed | false |
| IsScholarly | false |
| Issue | 2 |
| Keywords | Language development 감각 조절 언어 발달 Children 유아 Sensory modulation |
| Language | Korean |
| LinkModel | OpenURL |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1151-31e17f23a150d1ddda5a50611269ef9f38263dd9487b1a2b4aa26b87cf943b863 |
| PageCount | 9 |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9519961 kyobo_bookcenter_4050067649030 |
| PublicationCentury | 2000 |
| PublicationDate | 2020-06-30 |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0-06-30 |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6 year: 2020 text: 2020-06-30 day: 30 |
| PublicationDecade | 2020 |
| PublicationTitle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PublicationYear | 2020 |
| Publisher | 대한작업치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 Publisher_xml | – name: 대한작업치료학회 – name: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
| SSID | ssib004697717 ssib023738689 ssib044750984 |
| Score | 1.7387606 |
| Snippet | 연구목적 : 유아의 언어 발달은 언어를 이해하고 말을 산출하는 표현을 포함하며 타인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의사소통의 발달이 촉진되어지는데, 감각 통합의 어려움이... |
| SourceID | nrf kyobo |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 StartPage | 131 |
| SubjectTerms | 작업치료학 |
| TableOfContents |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
| Title | 만 3세 발달 지연 유아의 감각 조절과 언어 발달 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 URI |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50067649030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03492 |
| Volume | 28 |
| hasFullText | 1 |
| inHoldings | 1 |
| isFullTextHit | |
| isPrint | |
| ispartofPNX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20, 28(2), , pp.131-139 |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selected full-text only) customDbUrl: eissn: 2671-4450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50984 issn: 1226-0134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9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29b9NAFD-1ZWFBIECUj8pCeIoSfOevuzFxjQpSmVqpm2XHNqKRYilKBxhQkTIgwdClLUOQytSlg1GL1IG_yDH_A--dL40LkfgQi_Pu3bt3z_cuee8Xn-8IeeS6qWOGDq7zC9OmRUPa5E4MqBWibZey0GIhPtFdf-6sbVrPtuythUWjtmppZxi1uq_nvlfyL14FHvgV35L9C89eKAUG0OBfuIKH4fpHPtb9jt52de41TN33dG7pHd5AZsfQhYcEBwGvgZUoZyAhXKiWLBBpVywb2yKxqgvU0JYaDEVwWmmgWPBlI85lnal3Ku3Cga6nhDXfhkrXz_1Y0iypq6rDu6DKUGHUhVbRUKE6dKUxUGfravvI7dmgcK_eQMr7uphq5TYSHQE2yBE0UV4JC0m0JUcNWv2PEWZMV_Gpqfy_eqsFB0hVm5AyW_XowXjtW8JqoYCq6JaokpgbsHB3H5hmve0MF_Yyo8V4i7VU_Lm8ETik1phbOJaAH-ZFcoVBHMPDStbf-LXn1JDPzwArw32rnNl5Ari7oyHkMdwXN6PeJENDHv9iBkC23qssyiDz6g_SWua1cZ1cU5BJa1fz_wZZ6GU3STg5_qCZ5ehcm-TjyfsTrTzeLQ9zrRwflfuj8tNHrcj3ivytVn7Oy6N3xek3rTw4Lw_OpvJFXkmd7Rano3L0pTzcw8L3_bEGeoqvJ7fI5hN_w1trquNCmgnAGgrZRELdlJkhYJyYxnEc2qEN6SpljkhSkZqApM04FgDRIxqyyApD5kTc7abCMiPumLfJUj_rJ3eIZnUh8CUxo0aaWo7tipRFHJBKnJoJQCK2TFbksASIhHEVdTIILrlnmTyE8Qp63ZcB7t-Ony-yoDcIAKU-DQDVCOHQu7_Tco9cnU3s-2RpONhJHkAOPIxWpNt_AAexi64 |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7%8C+3%EC%84%B8+%EB%B0%9C%EB%8B%AC+%EC%A7%80%EC%97%B0+%EC%9C%A0%EC%95%84%EC%9D%98+%EA%B0%90%EA%B0%81+%EC%A1%B0%EC%A0%88%EA%B3%BC+%EC%96%B8%EC%96%B4+%EB%B0%9C%EB%8B%AC+%EA%B0%84%EC%9D%98+%EA%B4%80%EA%B3%84%EC%84%B1%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B%8C%80%ED%95%9C%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ED%9A%8C%EC%A7%80&rft.date=2020-06-30&rft.pub=%EB%8C%80%ED%95%9C%EC%9E%91%EC%97%85%EC%B9%98%EB%A3%8C%ED%95%99%ED%9A%8C&rft.issn=1226-0134&rft.volume=28&rft.issue=2&rft.spage=131&rft.epage=139&rft_id=info:doi/10.14519%2Fkjot.2020.28.2.11&rft.externalDocID=4050067649030 |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0134&client=summon |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0134&client=summon |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0134&client=summ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