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상 반론보도 청구제도에 관한 연구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유튜브 채널 등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반론보도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요한 언론법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국내에서도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출현한 반면,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나 피해구제는 아직 관련법의 미비에 따라 요원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독일의 경우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수평적 규제모델의 채택 하에 멀티미디어 관련 법제를 유사기능 중심으로 정비해 왔다. 더욱이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는 급변하는...
Saved in:
Published in | 미디어와 인격권 Vol. 10; no. 2; pp. 81 - 136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언론중재위원회
15.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5-9207 2465-9460 |
Cover
Abstract |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유튜브 채널 등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반론보도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요한 언론법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국내에서도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출현한 반면,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나 피해구제는 아직 관련법의 미비에 따라 요원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독일의 경우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수평적 규제모델의 채택 하에 멀티미디어 관련 법제를 유사기능 중심으로 정비해 왔다. 더욱이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는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대한 대응으로써 저널리즘적 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journalistisch-redaktionell gestaltete Telemedien)에 대해서는 반론보도 게재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볼 때 언론중재법을 포함한 현행 미디어 법체계나 이를 둘러싼 개선논의들은 여전히 매체중심의 규정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멀티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융합현상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국내의 반론보도 청구제도의 확대 논의에 있어서 이제는 매체중심적 규정방식을 탈피해 포괄적・개방적 멀티미디어 개념의 정립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이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온라인 언론 제공물의 특징은 그 구성방식이나 제공형태에 있어서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전통적 매체에서 벗어나 텍스트, 영상, 동영상 혹은 이들의 혼합 형태를 지닌 미디어 융합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체제를 정비함에 있어서 중요한 대목은 더 이상 기존의 매체형태를 고수하기 보다는 제공 콘텐츠가 저널리즘 활동을 통해 헌법상의 여론형성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지 여부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독일 텔레미디어 개념의 참조 하에서 우리의 현실에 맞게 저널리즘적 멀티미디어 제공물에 상당하는 독자개념을 창설하는 것이야말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이 될 것이다. |
---|---|
AbstractList |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유튜브 채널 등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반론보도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요한 언론법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국내에서도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출현한 반면,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나 피해구제는 아직 관련법의 미비에 따라 요원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독일의 경우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수평적 규제모델의 채택 하에 멀티미디어 관련 법제를 유사기능 중심으로 정비해 왔다. 더욱이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는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대한 대응으로써 저널리즘적 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journalistisch-redaktionell gestaltete Telemedien)에 대해서는 반론보도 게재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볼 때 언론중재법을 포함한 현행 미디어 법체계나 이를 둘러싼 개선논의들은 여전히 매체중심의 규정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멀티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융합현상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국내의 반론보도 청구제도의 확대 논의에 있어서 이제는 매체중심적 규정방식을 탈피해 포괄적・개방적 멀티미디어 개념의 정립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이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온라인 언론 제공물의 특징은 그 구성방식이나 제공형태에 있어서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전통적 매체에서 벗어나 텍스트, 영상, 동영상 혹은 이들의 혼합 형태를 지닌 미디어 융합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체제를 정비함에 있어서 중요한 대목은 더 이상 기존의 매체형태를 고수하기 보다는 제공 콘텐츠가 저널리즘 활동을 통해 헌법상의 여론형성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지 여부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독일 텔레미디어 개념의 참조 하에서 우리의 현실에 맞게 저널리즘적 멀티미디어 제공물에 상당하는 독자개념을 창설하는 것이야말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이 될 것이다. Whether reply-reporting is possible for new multimedia content such as YouTube channels provided through video sharing platforms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topic under media law. This is because, while a wide variety of multimedia has already emerged in Korea due to the convergence of media, appropriate regulation or damage relief for this is still distant due to the lack of relevant laws.
Contrarily, in the case of Germany, multimedia legislation has long been reorganized with a focus on similar functions as part of the introduction of a horizontal regulatory model. In addition, the German Media State Agreement (MStV), which came into force in September 2020, imposes various journalistic obligations on journalistic and editorial telemedia (journalistisch-redaktionell gestaltete Telemedien), including the right to reply,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In comparison, we must point out that the current media legal system, including the Press Arbitration Law, and the related improvement discussions are not sufficient to deal with the phenomenon of media convergence in the new multimedia era, as they still adhere to a media-centric regulatory method.
Therefore, in discussing the expansion of the domestic reply-reporting request system for multimedia, it is now the time when a paradigm shift is urgently needed to break away from the media-centric regulation method and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open multimedia concept. This is because today's online media offerings are characterized by a departure from tradi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 their composition and delivery format, showing a media convergence in the form of text, video, or a mixture of these. Therefore, an important point in reorganizing the regulatory system is that rather than adhering to the existing media form, it should focus on whether the provided content actively participates in forming public opinion under the Constitution through journalistic activities.
Specifically, creating an independent concept equivalent to journalistic multimedia offerings in accordance with our reality, with reference to the German telemedia concept will be the only answer to cope with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0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유튜브 채널 등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반론보도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요한 언론법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국내에서도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출현한 반면,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나 피해구제는 아직 관련법의 미비에 따라 요원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독일의 경우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수평적 규제모델의 채택 하에 멀티미디어 관련 법제를 유사기능 중심으로 정비해 왔다. 더욱이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는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대한 대응으로써 저널리즘적 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journalistisch-redaktionell gestaltete Telemedien)에 대해서는 반론보도 게재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볼 때 언론중재법을 포함한 현행 미디어 법체계나 이를 둘러싼 개선논의들은 여전히 매체중심의 규정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멀티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융합현상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국내의 반론보도 청구제도의 확대 논의에 있어서 이제는 매체중심적 규정방식을 탈피해 포괄적・개방적 멀티미디어 개념의 정립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이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온라인 언론 제공물의 특징은 그 구성방식이나 제공형태에 있어서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전통적 매체에서 벗어나 텍스트, 영상, 동영상 혹은 이들의 혼합 형태를 지닌 미디어 융합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체제를 정비함에 있어서 중요한 대목은 더 이상 기존의 매체형태를 고수하기 보다는 제공 콘텐츠가 저널리즘 활동을 통해 헌법상의 여론형성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지 여부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독일 텔레미디어 개념의 참조 하에서 우리의 현실에 맞게 저널리즘적 멀티미디어 제공물에 상당하는 독자개념을 창설하는 것이야말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이 될 것이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유튜브 채널 등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반론보도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요한 언론법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국내에서도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따라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출현한 반면,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나 피해구제는 아직 관련법의 미비에 따라 요원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독일의 경우에는 이미 오래 전부터 수평적 규제모델의 채택 하에 멀티미디어 관련 법제를 유사기능 중심으로 정비해 왔다. 더욱이 2020년 9월부터 시행된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는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의 융합현상에 대한 대응으로써 저널리즘적 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journalistisch-redaktionell gestaltete Telemedien)에 대해서는 반론보도 게재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와 비교해 볼 때 언론중재법을 포함한 현행 미디어 법체계나 이를 둘러싼 개선논의들은 여전히 매체중심의 규정방식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멀티미디어 시대의 미디어 융합현상에 대처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점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국내의 반론보도 청구제도의 확대 논의에 있어서 이제는 매체중심적 규정방식을 탈피해 포괄적·개방적 멀티미디어 개념의 정립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이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온라인 언론 제공물의 특징은 그 구성방식이나 제공형태에 있어서 신문이나 방송과 같은 전통적 매체에서 벗어나 텍스트, 영상, 동영상 혹은 이들의 혼합 형태를 지닌 미디어 융합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규제체제를 정비함에 있어서 중요한 대목은 더 이상 기존의 매체형태를 고수하기 보다는 제공 콘텐츠가 저널리즘 활동을 통해 헌법상의 여론형성에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지 여부에 맞춰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독일 텔레미디어 개념의 참조 하에서 우리의 현실에 맞게 저널리즘적 멀티미디어 제공물에 상당하는 독자개념을 창설하는 것이야말로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해답이 될 것이다. Whether reply-reporting is possible for new multimedia content such as YouTube channels provided through video sharing platforms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topic under media law. This is because, while a wide variety of multimedia has already emerged in Korea due to the convergence of media, appropriate regulation or damage relief for this is still distant due to the lack of relevant laws. Contrarily, in the case of Germany, multimedia legislation has long been reorganized with a focus on similar functions as part of the introduction of a horizontal regulatory model. In addition, the German Media State Agreement (MStV), which came into force in September 2020, imposes various journalistic obligations on journalistic and editorial telemedia (journalistisch-redaktionell gestaltete Telemedien), including the right to reply, in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convergence of digital media. In comparison, we must point out that the current media legal system, including the Press Arbitration Law, and the related improvement discussions are not sufficient to deal with the phenomenon of media convergence in the new multimedia era, as they still adhere to a media-centric regulatory method. Therefore, in discussing the expansion of the domestic reply-reporting request system for multimedia, it is now the time when a paradigm shift is urgently needed to break away from the media-centric regulation method and establish a comprehensive and open multimedia concept. This is because today's online media offerings are characterized by a departure from tradi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 their composition and delivery format, showing a media convergence in the form of text, video, or a mixture of these. Therefore, an important point in reorganizing the regulatory system is that rather than adhering to the existing media form, it should focus on whether the provided content actively participates in forming public opinion under the Constitution through journalistic activities. Specifically, creating an independent concept equivalent to journalistic multimedia offerings in accordance with our reality, with reference to the German telemedia concept will be the only answer to cope with the changed media environment. |
Author | 이수종 |
Author_xml | – sequence: 1 fullname: 이수종 |
Back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710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
BookMark | eNpFzM9KAlEUBvAhDDLzCYKYTVDBwP03995ZilkJllHWdrgz3olB05ixRTujWlug6cLA9klSCi3qhWbGd2hIq9X5zvl-nGUlUavX5IKSRITqmkEoSPxmBNiSkvZ91wKEMB1DSpPKYdi6i54-1fD1I2y3o8dxMBkGo-a09xB1vjb2jxunm9HNtRqOeuHzIHwfh61bNXobBpOXaNCPl6h7rwbj5rTTV6PuKD6vKIuOqPoyPZ8p5WQnV8ruaYXibj6bKWgSAk41JA3HdiBggloM6zbSAbUE45SUuQQMC4vzMjUMARxiS4wsijlD0HIkxpLrCKeUrdnfmueYFds168L9mWd1s-KZmaNS3oRA5xQREOP1Ob703HNZdoV5EQfhXZkHxe0chAaAHNDYrc5cxfX9P0IghERncbs2a6XwGq5dlf9CpwgD_A05NoYV |
ContentType | Journal Article |
DBID | M1Z HZB Q5X DBRKI TDB ACYCR |
DatabaseName | e-article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B-Type DBPIA - 디비피아 Nurimedia DBPIA Journals Korean Citation Index |
DatabaseTitleList | |
DeliveryMethod | fulltext_linktorsrc |
DocumentTitleAlternate |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상 반론보도 청구제도에 관한 연구 The reply-reporting system under the German Media State Agreement (MStV) |
DocumentTitle_FL | The reply-reporting system under the German Media State Agreement (MStV) |
EISSN | 2465-9460 |
EndPage | 136 |
ExternalDocumentID | oai_kci_go_kr_ARTI_10586240 NODE11901806 4111457 456230 |
GroupedDBID | M1Z M~E HZB Q5X DBRKI TDB ACYCR |
ID | FETCH-LOGICAL-e1086-2e9fcf107a6b735c2506ba7864d8e073ab88d699a0f4ce32b638721bfe33e8523 |
ISSN | 2465-9207 |
IngestDate | Thu May 01 03:20:35 EDT 2025 Thu Feb 06 13:29:02 EST 2025 Wed Aug 20 02:13:45 EDT 2025 Wed Oct 30 05:09:05 EDT 2024 |
IsOpenAccess | true |
IsPeerReviewed | false |
IsScholarly | false |
Issue | 2 |
Keywords | 간기의무 Multimedia journalistic-edited telemedia colophon obligation right to request-reply reporting 멀티미디어 저널리즘적-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 독일 미디어국가협약 German media national convention 반론보도청구권 right to request-reply reporting colophon obligation Journalistic-edited telemedia |
Language | Korean |
LinkModel | OpenURL |
MergedId | FETCHMERGED-LOGICAL-e1086-2e9fcf107a6b735c2506ba7864d8e073ab88d699a0f4ce32b638721bfe33e8523 |
Notes |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
OpenAccessLink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7109 |
PageCount | 56 |
ParticipantIDs |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586240 nurimedia_primary_NODE11901806 kiss_primary_4111457 earticle_primary_456230 |
PublicationCentury | 2000 |
PublicationDate | 20240815 |
PublicationDateYYYYMMDD | 2024-08-15 |
PublicationDate_xml | – month: 08 year: 2024 text: 20240815 day: 15 |
PublicationDecade | 2020 |
PublicationTitle | 미디어와 인격권 |
PublicationTitleAlternate | 미디어와 인격권 |
PublicationYear | 2024 |
Publisher | 언론중재위원회 |
Publisher_xml | – name: 언론중재위원회 |
SSID | ssib044753166 ssib040271881 |
Score | 1.8944577 |
Snippet |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유튜브 채널 등 새로운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에 대해서도 반론보도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요한 언론법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
SourceID | nrf nurimedia kiss earticle |
SourceType | Open Website Publisher |
StartPage | 81 |
SubjectTerms | colophon obligation German media national convention journalistic-edited telemedia Multimedia right to request-reply reporting 간기의무 독일 미디어국가협약 멀티미디어 반론보도청구권 신문방송학 저널리즘적-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 |
TableOfContents |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텔레미디어에 대한 반론보도청구권의 특수성 문제
1. 독일 텔레미디어 관련 입법규제의 헌법적 의미
2. 독일 반론보도 청구제도 개관
3. 미디어국가협약 제20조상 반론보도청구권의 특수성
Ⅲ. 미디어국가협약 제20조상 반론보도청구권의 요건
1. 미디어국가협약 제20조 개요
2. 미디어국가협약 제20조의 실질적 요건
3. 형식적 요건
4. 반론보도게재의 이행요건
5. 법원에의 권리주장(제20조 제3항)
Ⅳ. 미디어국가협약 제18조상의 간기의무
1. 개관
2. 저널리즘적-편집을 거쳐 제작된 텔레미디어
3. 제공자의 정보제공의무
4. 책임자의 지명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
Title | 독일 미디어국가협약(MStV)상 반론보도 청구제도에 관한 연구 |
URI | https://www.earticle.net/Article/A456230 https://kiss.kstudy.com/ExternalLink/Ar?key=4111457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901806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07109 |
Volume | 10 |
hasFullText | 1 |
inHoldings | 1 |
isFullTextHit | |
isPrint | |
ispartofPNX | 미디어와 인격권, 2024, 10(2), 21, pp.81-136 |
journalDatabaseRights | – providerCode: PRVHPJ databaseName: ROAD: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customDbUrl: eissn: 2465-9460 dateEnd: 99991231 omitProxy: true ssIdentifier: ssib044753166 issn: 2465-9207 databaseCode: M~E dateStart: 20150101 isFulltext: true titleUrlDefault: https://road.issn.org providerName: ISSN International Centre |
link |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a9RAFA-1F72IUj_qRwnoQGVJSSZfM8dkN6WKrUJb6S1MvooUdqVuLx6kop6r0NoeKtS7xaIteNB_aJP-D743SXaDiF-wZGdfXl5mfm8288vMvBlFuc1i3cioYJpwbKrhgl2a0BOhRaawuJNEepbiiO78gjO3bN1bsVfGzkw3Zi1t9KOZ-Nkv40r-x6sgA79ilOw_eHZoFASQBv_CETwMx7_yMQl8wmYJs0nQJrxD_HYLRd4s8RkmuIUfPOcQHxIe8W3idWRCxzkOQYdwRrghdWzid4Bvzi_2HxHKUcRMIJrSJKhzadIziKdLiSlNlhmwWqju09o43KWNElDl7aGSvItLuN6SSladAxuUWtVJuFFtoMmbf1ssSHCw1apRYNIEZIbLhENYu8G7cWhKVDOwM1FGbjb78msr0jBjstxQEoowU3Y_TVuLvR6OOqzWvShVpwm1sBe4DBuV1bzOYhM4sGTVgAcVSgBRBQ6UrYTEgzyPntEUarfGablx70zakFnlNgnDRkZv_Jloo8UoN6ypuIdh_rQsuCQaCw86gYHEjeHa8mfgCY1TVJ8H9XPT0ikwjFH8MK7haBpymH6YP-RaVT0F8gHvJk-BTHXXgYOd7W7gRhIAfYNYLV1QzleeUb3ysovK2FpvQnmYb70u3n9T809f8-3t4t3x4ORwcLR5uve22Pk-jVX0TvHyhZof7eUfDvIvx_nWK7X4fDg4-Vgc7MOPYveNOjjePN3ZV4vdIxBfUpZng6X2nFZt_qGluPmXRlOexZmhu8KJXNOOgao7kXCZYyUshXZJRIwlDudCz6w4NWkEDYlLjShLTTNlNjUvK-PdXje9qqgm4BFnwrDcKLESIYRhZzbGL0WUJpmZTCpXamzCJ-UaLyF2DJj6pDKBUI2kwAws251UbgF04Vr8OMTV2fF7tReurYfwDno3hDcWjLqCi6eG0A4tNH157U8K15Vzo8p7Qxnvr2-kN4ED96MpWQF-AOgWlxU |
linkProvider | ISSN International Centre |
openUrl |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8F%85%EC%9D%BC+%EB%AF%B8%EB%94%94%EC%96%B4%EA%B5%AD%EA%B0%80%ED%98%91%EC%95%BD%28MStV%29%EC%83%81+%EB%B0%98%EB%A1%A0%EB%B3%B4%EB%8F%84+%EC%B2%AD%EA%B5%AC%EC%A0%9C%EB%8F%84%EC%97%90+%EA%B4%80%ED%95%9C+%EC%97%B0%EA%B5%AC&rft.jtitle=%EB%AF%B8%EB%94%94%EC%96%B4%EC%99%80+%EC%9D%B8%EA%B2%A9%EA%B6%8CJournal+of+Media+and+Defamation+Law&rft.au=%EC%9D%B4%EC%88%98%EC%A2%85%28Lee+Soo+Jong%29&rft.date=2024-08-15&rft.pub=%EC%96%B8%EB%A1%A0%EC%A4%91%EC%9E%AC%EC%9C%84%EC%9B%90%ED%9A%8C&rft.issn=2465-9207&rft.eissn=2465-9460&rft.volume=10&rft.issue=2&rft.spage=81&rft.epage=136&rft.externalDocID=NODE11901806 |
thumbnail_l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465-9207&client=summon |
thumbnail_m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465-9207&client=summon |
thumbnail_s |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465-9207&client=summon |